사회 사회일반

개인형 이동장치 음주운전 단속 강화한다

서울시 자치경찰위원회가 지난 25일 강남경찰서를 방문해 개인형 이동장치 관련 안전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서울시 자치경찰위원회 제공서울시 자치경찰위원회가 지난 25일 강남경찰서를 방문해 개인형 이동장치 관련 안전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서울시 자치경찰위원회 제공




서울시 자치경찰위원회는 최근 이용량이 늘어난 개인형 이동장치(Personal Mobility, PM)교통법규 준수를 위한 단속 및 홍보 활동을 강화하기로 했다.



자치경찰위는 지난 25일 강남경찰서를 방문해 강남서, 서울경찰청과 함께 PM 안전대책 마련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의논했다. 자치경찰위에 따르면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된 후 유흥가 등지에서 대중교통이 부족한 심야 시간에 PM 이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음주운전, 보호장비 미착용 등 교통법규를 지키지 않는 이용자도 함께 늘어나며 사고 위험 또한 커지고 있다.

관련기사



실제로 서울시와 서울경찰청 자료를 살펴보면 서울시 공유 PM 이용량은 올해 2월 119만 건에서 3월 142만 건, 4월 186만 건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PM 음주운전 단속 건수도 거리두기 해제일(4월 18일) 전후 1개월을 비교한 결과 49건에서 93건으로 89.8% 증가했다. 특히 강남구는 서울에서 서비스를 운영하는 PM 공유업체 13곳 중 9곳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25개 자치구 중 가장 이용량이 많고 사고 위험성이 높다.

대책회의에서 강남서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강남구청, PM 공유업체와 진행한 간담회 내용을 공유하고 교통사고 감소 캠페인을 위해 기관 간 협업을 이어가겠다고 전했다. 서울경찰청은 7월 31일까지 2개월간 PM을 포함한 이륜차, 자전거 등 '두 바퀴 차'의 주요 위반 행위를 집중 단속하고 교육·홍보도 병행하기로 했다. 자치경찰위는 안전 장비 의무 착용 등 PM 운전자의 교통법규 준수를 위한 단속과 교육·홍보를 강화하고 우수 단속 및 개선 사례를 인접 경찰서, 지자체 등과 적극적으로 공유해달라고 부탁했다. 이용자 안전대책 활성화 방안으로는 발광형 안전모 및 손잡이 보급을 통한 야간 시인성 강화, 일회용 안전모 내피 보급을 통한 보호장비 착용 활성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김후인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