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보험가입한 전기차 3배 껑충…수리비는 일반차보다 30% ↑

지난해 자보 가입한 전기차 18.4만대

평균 수리비 비전기차보다 57만 원 높아

고가 배터리 진단 수리·교환 기준 마련 지원






전기차 수리비가 내연기관(하이브리드 포함)보다 평균 30.3% 높고 사고율도 2.1%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전기차 자동차보험 현황 및 감독 방향’에 따르면 지난해 말 자동차보험에 가입한 전기차는 18만 4000대로 집계됐다. 2018년(4만 6000대)보다 3배 이상 늘었다. 같은 기간 자동차보험에서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0.2%에서 0.8%로 증가했다.

개인용 전기차의 평균 보험료는 지난해 말 94만 3000원으로 2018년보다 24만 2000원 증가했다. 내연기관차의 평균 보험료(76만 2000원)보다 18만 1000원 더 많았다. 전기차의 차량 가액이 내연기관차보다 2.7배 높기 때문이다. 전기차의 자기차량손해(자차) 담보 평균 수리비 역시 내연기관보다 30.3%(57만 원) 높은 245만 원을 기록했다. 핵심 부품인 고전압 배터리의 부분 수리가 어려운 데다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니켈·리튬의 가격이 상승하며 배터리 가격이 오른 점도 원인이다.

전기차의 손해율은 지난해 76%로 2018년보다 21.4%포인트 줄었지만 여전히 내연기관차보다 2%포인트 높았다. 주행거리가 긴 데 따라 전기차의 사고율 역시 비전기차보다 2.1%포인트 높은 18.1%를 보였다. 금감원은 “전기차의 고유 위험으로 보장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다양한 특약 상품 개발을 유도할 예정”이라며 “보험금 분쟁 누수 방지를 위해 보험업계가 전기차 고전압 배터리에 대한 진단, 수리·교환 기준 등을 마련해 나가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