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화물연대 부산지부 총파업…최대 무역항 부산항도 ‘비상’

7일 부산신항 삼거리서 화물연대 부산지부 총파업

장기화하면 장치율 100% 육박하면 항만 마비

철강·해운업계 손실 우려…항만공사, 비상대책본부 운영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 부산지부 조합원은 7일 오전 부산 강서구 부산신항 삼거리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열었다./연합뉴스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 부산지부 조합원은 7일 오전 부산 강서구 부산신항 삼거리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열었다./연합뉴스




7일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가 총 파업에 돌입하자 우리나라 최대 무역항인 부산항에도 비상이 걸렸다.

이날 오전 강서구 부산신항 삼거리에서 열린 화물연대 부산지부 총파업 출정식에는 3000여명(주최 측 추산)이 참여했다. 화물연대는 안전 운임 일몰제 폐지 및 전 차종·전 품목 확대, 운송료 인상, 지입제 폐지 및 화물 운송산업 구조 개혁, 노동기본권 확대 및 화물노동자 권리 보장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결의문에서 “화물노동자의 생존을 위해, 국민의 안전을 위해, 우리 앞에는 단 하나의 길만이 놓여 있다”며 “투쟁으로 우리의 존재를 증명하고, 힘으로 우리의 권리를 쟁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지부는 이날 0시부터 화물 운송을 거부한 데 이어 부산항 신항과 남구 신선대부두, 감만부두 등에서 파업에 돌입했다.

관련기사



이번 파업으로 부산항에도 비상이 걸렸다. 부산항 터미널운영사들은 화물연대 파업의 강도가 높아져 항만 등의 봉쇄를 시도하거나 장기화하면 항만 운영에 큰 차질을 빚을 것으로 내다봤다.

파업으로 부두에 쌓여 있는 컨테이너가 제 때 빠져나가지 못해 장치율(컨테이너를 쌓아둔 비율)이 높아지면 부두 운영 차질은 물론 항만 운영이 마비되고 이로 인해 내수 판매와 수출, 원재료 수입 등에서 연쇄 피해가 생길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부두 내 장치율은 북항과 신항 10개 터미널 평균 73.9%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 비율이 100%에 육박하면 항만 운영이 사실상 마비된다.

북항의 한 터미널 운영사는 “북항의 경우 장치율 자체가 이미 높은 상태여서 장기 화물을 먼저 빼내 공간을 확보하는 등 미리 대비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어서 터미널 간 이동(ITT) 통로를 통해 화물을 이동할 수 있는 정도로 대비하고 있는 상태”고 말했다. 또 다른 터미널 운영사는 “파업을 앞두고 원활한 본선 작업을 위해 빈 컨테이너를 외곽으로 빼내 부두 내 장치율을 낮추는 등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파업이 길어지는 경우 철강업체는 원재료의 수입이 어려워 생산을 줄이거나 중단해야 할 처지에 이를 수도 있다. 해운업계는 예약된 수출입 화물을 선박에 싣지 못해 선사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한 기업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장기 운송 계약을 맺은 물류기업과 선사가 아닌 일반 중소 수출입기업의 피해가 심할 것”이라며 “이들 기업은 화물연대의 파업에 매번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수출입기업 관계자는 “해외 업체들은 화물연대 파업으로 국내업체가 계약을 지키지 못하는 것에 관심이 없다”며 “해외업체의 신뢰에 금이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비상대책본부를 운영 중인 부산항만공사는 북항 2곳과 신항 5곳에 총 2만2000여 TEU(1 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를 둘 수 있는 임시 장치장을 운영하는 한편 감만, 우암, 신항 안골 등의 공간을 확보해 장치율 상승에 대비하고 있다. 이밖에 부두 간 차량 이동을 위한 내부 통로를 개방하고 야드트랙터와 일반 차량을 이용한 화물 운송을 지원하기로 했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