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장하원 디스커버리펀드 대표 구속…"도주·증거인멸 가능성"

부실펀드 판매·투자금 돌려막기 등 의혹

같은 혐의로 수사받은 임원 영장은 기각

"혐의 인정하느냐"는 질문엔 묵묵부답

환매 중단으로 2천560억원에 이르는 피해를 발생시킨 디스커버리펀드자산운용 장하원 대표가 8일 오전 서울 양천구 서울남부지방법원에서 열린 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환매 중단으로 2천560억원에 이르는 피해를 발생시킨 디스커버리펀드자산운용 장하원 대표가 8일 오전 서울 양천구 서울남부지방법원에서 열린 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펀드 환매 중단 사태로 2500억 원 가량의 손실을 발생시킨 장하원 디스커버리자산운용 대표가 경찰에 구속됐다.



8일 서울남부지법 권기만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이날 장 대표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열고 구속 필요성을 심리한 뒤 "도주와 증거인멸 염려가 있다"며 영장을 발부했다. 다만 같은 혐의로 수사를 받은 회사 임원 김 모 씨에 대해선 "혐의가 가볍지 않고 범행을 저질렀다고 의심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다"면서도 "주거가 일정하고 증거 인멸의 염려나 도망의 염려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며 검찰의 영장 청구를 기각했다.

관련기사



장 대표 등은 펀드에 부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서도 이를 숨긴 채 판매하고, 판매 수익이 없는 상황에서도 신규 투자자의 투자금으로 기존 투자자에게 수익금을 지급한 ‘폰지 사기’ 수법을 사용했다는 혐의를 받는다.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 사기와 자본시장법 위반 등의 혐의다.

이날 법원의 심문을 받기 위해 출석한 장 대표는 '부실펀드 판매와 투자금 돌려막기 혐의 등을 인정하느냐'는 등의 취재진 질문에 입을 닫은 채 아무런 대답을 하지 않았다.

앞서 사건을 수사해 온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는 지난달 영장을 신청했으나 서울남부지검이 보완수사를 요구하며 한 차례 반려했다. 이후 경찰은 약 한 달간 보강 수사를 거쳐 영장을 재신청했고 받아들여진 것으로전해졌다.

디스커버리 펀드는 2017년부터 2019년 4월까지 IBK기업은행과 하나은행 등 시중은행과 증권사를 통해 판매됐다. 이후 운용사의 불완전 판매와 부실 운용 등으로 환매가 중단돼 개인·법인 투자자들이 큰 피해를 봤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4월 말 기준 환매 중단으로 은행 등이 상환하지 못한 잔액은 모두 2562억 원에 이른다.

장 대표의 형인 장하성 주중대사 부부와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 채이배 전 바른미래당 의원 등도 이 펀드에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건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