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양배추 55% 올라"…소비자물가 품목 5개 중 1개 '두자릿수 상승'

지난달 30일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식용유·밀가루. 연합뉴스지난달 30일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식용유·밀가루. 연합뉴스





지난달 물가 조사 대상 품목 5개 중 1개꼴로 가격이 1년 전보다 10% 이상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10일 통계청 국가포털통계(KOSIS)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 조사 대상 458개 품목 중 가격 상승률이 10% 이상인 품목은 93개로 20.3%에 달했다. 두자릿수 상승률 품목은 지난해 5월만 해도 43개(9.4%)였으나 올해 1월 61개(13.3%), 2월과 3월은 각각 71개(15.5%), 4월은 85개(18.6%)를 기록하는 등 점점 늘어나고 있다. 지난달 물가 상승률을 품목별로 보면 등유가 1년 전보다 60.8% 올라 조사 대상 품목 중 가장 상승률이 높았다. 양배추(54.6%), 경유(45.8%), 국수(33.2%), 감자(32.1%), 무(31.3%) 등 식료품과 에너지 품목이 상승률 상위권에 올랐다.

식료품과 에너지뿐만 아니라 다른 품목의 물가 상승세도 가파르다. 지난달 식료품·에너지 제외 물가지수는 3.4% 올라 2009년 2월(4.0%) 이후 가장 높았다. 식료품·에너지 제외 지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 물가지수다. 품목성질별로 보면 내구재는 1년 전보다 3.4% 올랐는데 이는 2010년 5월(3.5%) 이후 12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싱크대(19.2%), 장롱(13.6%), 책상(12.7%), 자전거(12.0%) 등의 상승률이 높았다. 원재료 가격과 운송비용의 상승 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공급망 차질 영향으로 수입승용차(4.3%), 다목적승용차(3.8%), 대형승용차(3.0%) 등도 오름세를 보였다.

천소라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공급 측면의 압력이 장기화하면서 누적된 생산 비용의 상승이 다른 부문으로 다 퍼지는 양상"이라며 "코로나19 이후 수요가 원래 상태로 돌아가는 과정에서 공급망 차질과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이 맞물리고 있다"고 말했다.


박윤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