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대우조선해양, 경남남부세관 협조로 대형 해양플랜트 진수 성공

안정적 수심 확보 위해 설비 이동 불가피

자항선 이용 위해 경남남부세관에 협조 요청

대우조선해양이 자항선을 이용해 옥포항 외해로 나가 부유식 원유·가스생산설비를 진수하고 있다. 사진 제공=대우조선해양대우조선해양이 자항선을 이용해 옥포항 외해로 나가 부유식 원유·가스생산설비를 진수하고 있다. 사진 제공=대우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042660)이 경남남부세관의 협조로 공법상 어려움을 겪은 대규모 해양플랜트의 진수를 마쳤다고 14일 밝혔다.



대우조선해양이 글로벌 석유회사인 셰브론으로부터 수주한 부유식 원유·가스생산설비(FPU)는 총 중량이 2만2194톤에 달하는 대형 구조물이다. 이 프로젝트를 안정적으로 진수하기 위해서는 최소 23m의 수심이 확보돼야 하는데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의 내항의 평균 수심은 15m에 불과했다. 안정적인 수심이 확보된 곳으로 설비를 이동해야 하는 상황에서 대우조선해양은 해외에서 블록을 싣고 오는 전용선박인 자항선을 이용할 수 있도록 경남남부세관에 협조를 요청했다.

관련기사



국제무역선을 이용한 해양플랜트 진수작업은 국내에선 이번이 첫 사례였다. 특히 보세공장 생산물품의 해상이동과 진수작업에 대한 허가절차가 법령에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은 점이 문제였다. 경남남부세관은 해당 법령을 유리하게 해석해 국제무역선의 불개항장 출입과 장외작업 절차를 마련해 허가함으로써 대우조선해양의 해양플랜트 진수를 적극 지원했다.

5만2300톤급 자항선인 ‘메가패션호’는 FPU를 품고 진수하기에 충분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 6월 육상에서 건조한 앵커프로젝트 FPU를 옥포만 해상 밖으로 이동시킨 뒤 사흘에 걸쳐 안전한 수심에서 진수를 마쳤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앞으로도 조선소 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애로사항과 제도 개선을 위해 소통과 협업으로 상생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진수에 성공한 해상원유·가스생산설비는 멕시코만의 해양유전 개발 계획 ‘앵커 프로젝트’에 쓰일 구조물이다. 폭과 길이가 각각 83.2m, 높이는 53m에 달한다. 이 제품은 다음 달 중순까지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공사를 마치고 멕시코만으로 출발할 예정이다.


김지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