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기·벤처

내수 부진·공급난에…4월 산단 가동률 0.6%P↓

주력업종 후퇴에 생산도 54.7조





4월 전국 산업단지 가동률이 3월에 비해 소폭 하락하며 주춤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한국산업단지공단에 따르면 전국 33개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조사한 ‘2022년 4월 주요 국가산업단지 산업동향’ 결과, 4월 한달 동안 공장가동률은 84.9%로 전달에 비해 0.6%포인트(p) 감소했다. 지난달 석 달 만에 증가세를 기록했지만 다시 하락세로 돌아선 것이다.

관련기사



생산도 54조7428억 원을 기록하며 3월(54조9358억 원)과 비교해 0.4% 줄었다. 가동률과 생산의 하락은 전기전자·기계·철강 등 주력 업종의 생산이 감소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기업규모별 가동률은 대기업(300인 이상)과 중기업(50~300인 이하)은 각각 88.4%, 83.0%로 전달 대비 감소했다. 소기업(50인 이하)만 75.5%로 전달 보다 늘었다. 수출 역시 188억8200만 달러를 기록하며 3월(189억2800만 달러) 보다 0.2% 하락했다. 대외 경제 악화에 따른 수출 물량이 감소에 따른 결과다.

고용도 97만7626명으로 전달(97만8001) 보다 0.04% 준 것으로 나타났다.

산단공 관계자는 “코로나 여파로 여전해 내수부진이 여전하고 우크라이나 사태 등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불안으로 에너지·원자재 수입이 크게 증가하며 생산실적이 하락세로 돌아섰다”고 했다


이현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