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IT접목된 임상솔루션 시장, 2030년 27조 원 규모 전망”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 글로벌 임상 동향 발간





정보기술(IT)을 임상시험에 활용하는 ‘e임상솔루션’의 글로벌 시장 규모가 2030년에는 약 27조 원으로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 글로벌 임상시험 동향’ 3호를 발간했다고 22일 밝혔다. e임상솔루션은 △비대면 환자 모집 및 모니터링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임상시험 데이터 수집·관리 △임상시험 데이터·수행현황 실시간 점검 등 임상시험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IT를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e임상솔루션 시장은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세포 및 유전자 치료 등 개인 맞춤형 치료법의 등장을 계기로 환자 중심의 임상시험이 중요해지고 비용 최적화를 위한 중앙 집중형 임상시험이 많아지는 데 따른 것이다.

관련기사



지난해 e임상솔루션 시장규모는 약 8조 4861억 원으로 추산되며 이는 2030년까지 연평균 13.6%씩 성장해 약 27조 원 규모로 커질 전망이다.

한국의 경우 2021년 e임상솔루션 시장규모는 약 2700억 원이며, 이는 글로벌 e임상솔루션 시장의 3.2%, 한국 보건제조산업 전체 시장의 0.6%에 해당한다. 한국 시장도 연평균 16.1%씩 성장해 2030년에는 1조 38억 원(글로벌 점유율 11.8%) 규모에 이를 것이라는 예상이다.

보고서는 e임상솔루션은 최첨단 글로벌 경쟁력을 가진 한국의 정보통신기술(ICT)이 다양하게 접목될 수 있으며,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e임상솔루션 분야인 전자임상결과평가(eCOA)의 글로벌 진출?유치를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배병준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 이사장은 “이제 임상시험도 여타 산업계와 마찬가지로 디지털 전환의 큰 물결을 타게 됐다”며 “선제적 정책·제도적 장치 마련은 국내 시장의 온전한 성장은 물론 한국이 임상시험의 디지털 전환 시대를 순조롭게 항해해 나가는 초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왕해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