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전경련-게이단렌, 3년 만에 한일재계회의 개최…공동선언문 채택

전경련회관서 제29회 한일재계회의 개최

수출규제 폐지·무비자 입국제 부활 등 제안

미국 포함 '한미일 비즈니스 서밋' 의견도

'전경련 탈퇴' 4대 그룹 사장들 참석 눈길

허창수(왼쪽) 전국경제인연합 회장과 도쿠라 마사카즈 게이단렌 회장이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전경련 회관에서 열린 제29회 한일재계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허창수(왼쪽) 전국경제인연합 회장과 도쿠라 마사카즈 게이단렌 회장이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전경련 회관에서 열린 제29회 한일재계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여파로 미뤄졌던 한일재개회의가 3년 만에 재개됐다. 한일 재계는 8개 항의 공동선언문을 채택하는 등 양국 경제계 협력을 위한 신뢰 기반을 다졌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4일 오전 일본 기업인 단체 ‘게이단렌’(經團連)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제29회 한일재계회의를 개최했다.

전경련과 게이단렌은 양국 경제계의 협력과 친목 도모 등을 위해 1983년부터 한일재계회의를 열고 있다. 이후 매년 열린 이 행사는 지난 2020년, 2021년에는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열리지 않았다. 올해에도 코로나19가 완전 종식되지는 않았지만 윤석열 정부 출범을 계기로 한일 관계 개선, 양국 경제협력을 위해 대면회의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3년 만에 성사됐다.

이날 회의에서 두 단체는 △한일 경제동향·전망 △지속가능사회 실현을 위한 한일 협력 △새로운 세계질서와 국제관계에 대해 논의했다. 또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해 두 단체를 주축으로 양국 경제계가 나서기로 합의했다.



회의에서는 한일 상호 수출규제 폐지, 인적교류 확대를 위한 상호 무비자 입국제도 부활, 한국의 환태평양 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 필요성,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발전을 위한 한일 공동협력, 한미일 비즈니스 서밋 구성 등이 제안됐다. 한국 측 참석자들은 CPTPP 가입을 위해 일본의 지지를 요청했다. 한국·일본의 최대 우방국인 미국과 3국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한미일 비즈니스 서밋을 구성하고 정기적인 회의를 갖자는 제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관련기사



이와 함께 두 단체는 1998년 ‘한일 공동선언’(김대중-오부치 선언) 정신 존중·미래지향적 관계 구축, 민간교류 정상화를 위한 비자면제 프로그램 부활 필요성 등을 담은 8개 항의 공동선언문을 채택했다.

내년에는 도쿄에서 제30회 한일재계회의를 개최하기로 했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한일 관계 개선은 김대중-오부치 선언에 답이 있다. 과거가 아닌 미래를 보고 모든 분야에서 협력을 강조한 이 선언을 지금에 맞게 업그레이드 해야 한다”며 “한일 정상회담이 조속히 열려 상호 수출규제 폐지, 한일 통화스와프 재개, 한국의 CPTPP 가입 등 현안이 한꺼번에 해결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도쿠라 마사카즈 게이단렌 회장은 “한일관계가 어려울수록 1998년 한일 파트너십 선언의 정신을 존중하고 미래를 지향하면서 함께 전진하는 것이 소중하다”며 “일본 경제계에서도 한일 정상과 각료 간의 대화가 조기에 재개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는 한국 측에서 허 회장을 비롯해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김윤 삼양홀딩스(000070) 회장, 이장한 종근당(185750) 회장, 권태신 전경련 부회장, 조현준 효성(004800) 회장, 윤종규 KB금융(105560)그룹 회장,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 이어룡 대신파이낸셜그룹 회장, 우오현 SM그룹 회장, 최창식 DB하이텍(000990) 부회장, 김종서 한화토탈에너지스 사장, 장희구 코오롱인더(120110)스트리 사장, 이인용 삼성전자(005930) 사장, 고정석 삼성물산(028260) 사장, 공영운 현대자동차 사장, 조주완 LG전자(066570) 사장, 이용욱 SK 머티리얼즈 사장, 전중선 포스코홀딩스 사장, 배상근 전경련 전무 등 20명이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는 전경련 소속이 아니지만 삼성·현대차(005380)·LG·SK그룹 등 대기업 사장들이 이례적으로 참석했다. 4대 그룹은 2016년 국정농단 사태 이후 전경련을 탈퇴했다.

일본 측에서는 도쿠라 회장, 사토 야스히로 미즈호금융그룹 고문, 야스나가 타츠오 미쓰이물산 회장, 히가시하라 토시아키 히타치제작소 회장, 구보타 마사카즈 경단련 부회장 등 5명이 나왔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