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권역투표 철회·여론조사 30% 반영…결국 친명계 반발에 밀린 전대 룰

민주 전준위·비대위안 절충 확정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이 6일 국회에서 비공개 당무위원회를 마친 후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 성형주 기자우상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이 6일 국회에서 비공개 당무위원회를 마친 후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 성형주 기자




계파 간 갈등 양상으로 치닫던 더불어민주당 8·28 전당대회 룰이 6일 최종 확정됐다. 당 대표 예비 경선에는 전당대회 준비위원회의 안(案)대로 일반 여론조사 30%를 반영하고 그 대신 최고위원 예비 경선은 중앙위원회 100%로 컷오프하기로 했다.






민주당은 이날 국회에서 당무위원회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고 우상호 비상대책위원장이 기자간담회를 통해 전했다.



비대위가 최고위원 경선에 도입하려 했던 ‘권역별투표제’는 당무위에 앞서 진행된 비대위 회의에서 스스로 철회했다고 밝혔다. 우 비대위원장은 “여론조사의 변별력이 있는 당 대표 경선은 여론조사를 반영해서 컷오프해도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봤고 최고위원 예비 경선에는 비대위 의견이 반영된 절충안이 수정안으로 만장일치로 채택됐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와 관련해 조오섭 대변인은 “물리적으로 최고위원 후보 15명으로 여론조사를 돌려 8명으로 압축하는 것이 힘든 부분이 있고 변별력 문제도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전준위가 중앙위원만 투표에 참여할 수 있었던 예비 경선 방식을 ‘중앙위 70%, 국민 여론조사 30%’로 변경하는 전대 룰 수정안을 발표했지만 비대위에서 ‘중앙위원 100%’로 원위치시키고 ‘1인 2표’인 최고위원 투표도 한 표는 투표자가 속한 권역 출신 후보자에게 행사하도록 하면서 이재명계를 중심으로 강한 반발을 낳았다. 그러나 당무위에서 전준위안과 비대위안을 절충한 수정안을 최종 의결하면서 전대 룰을 둘러싼 당내 갈등도 일단락될 것으로 보인다.

비대위 수정안에 반발하며 전준위원장직을 사퇴한 안규백 의원은 최종 결정안에 환영의 뜻을 밝혔다. 안 의원은 본인의 페이스북에 “애초 전준위가 제기한 안과 다소 달라진 점은 있지만 비대위원·당무위원 여러분께서 고심 끝에 내린 결론임을 알기에 감사와 환영의 뜻을 밝힌다”고 글을 남겼다. 우 위원장은 이 글을 본인의 페이스북 계정에 공유하며 화답했다.

민주당 안팎에서는 전대 룰 최종 확정안을 두고 우 위원장이 ‘친명계’와 ‘반명계’ 모두에게 명분과 실리를 챙겨줬다는 평가가 나온다. 우선 친명계로서는 당 대표 경선에 국민여론을 반영할 수 있게 되면서 이 의원의 컷오프 통과 가능성이 높아지게 됐다. 국민여론 반영은 친명계가 줄곧 요구해오던 사안이다. 반명계로서도 최고위원 경선을 중앙위원 100%로 진행함으로써 이 의원의 최대 지지 세력인 ‘처럼회’의 지도부 대거 입성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됐다.

당무위는 이와 함께 박지현 전 비대위원장의 출마 자격에 관한 논의를 당무위 안건으로 회부하지 않은 비대위 의견을 만장일치로 존중하기로 했다. 당헌·당규상 당직선거 피선거권이 없는 박 전 위원장은 이번 전대에 출마하지 못한다.

전준위는 한편 전대 선거인단 비율을 기존 ‘대의원 45%, 권리당원 40%, 일반 국민 10%, 일반 당원 5%’에서 ‘대의원 30%, 권리당원 40%, 일반 국민 25%, 일반 당원 5%’로 변경한 바 있다.


정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