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 40주년, 장년이 된 신한이 청년층의 든든한 지원자가 되겠습니다.”
‘신한 청년 포텐(Four-Ten) 프로젝트’는 신한금융그룹의 기업 시민으로서 역할뿐만 아니라 청년과의 동반 성장 의지를 담고 있다. 1회성이 아닌 5년간 14조 원에 달하는 금융 지원을 통한 청년층의 성장이 다시 신한에는 고객 증대와 성장이라는 결과물로 돌아오기 때문이다. 여기다 은행의 공공성 확대라는 사회적 요구에 대한 금융권의 첫 화답이기도 하다. 서민과 취약계층 대출 부담 완화에 나섰던 금융권은 금리 상승기 금융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며 대폭적인 지원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은행권에서는 KB국민은행이 이르면 이달 중 취약계층의 가계대출 금리를 인하하는 내용 등이 담긴 ‘가계대출 지원 종합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금융지주 가운데 먼저 사회적 책임 실천에 나선 신한금융은 청년층의 주거, 자산 형성, 일자리, 복지 등 4대 핵심 영역에 초점을 맞췄다. 주거·생활 안정 차원에서 생애 최초로 주택을 구입하는 2030 청년들에게 금리를 인하해 이자 부담을 낮춰주는 방식으로 7조 6000억 원 규모의 금융 지원이 이뤄질 예정이다. 특히 전월세대출 이용 비중이 높은 청년층에도 금리를 낮춰주는 방식으로 총 2조 5500억 원이 공급된다. 신한은행은 5년간 2조 5000억 원 한도로 청년전월세자금대출을 이용하는 차주에게 0.7%포인트의 금리 우대를 해주기로 했다. 계열사인 제주은행은 청년전세자금대출 상품 이용시 0.2%포인트 금리를 우대해준다. 취약 청년층의 금융 부담을 완화해주기 위해 △햇살론 유스(Youth) 고객 납입 보증료 전액 지원, 긴급생활자금비상금대출 3000억 원 지원(신한은행) △새희망홀씨상품 청년 대상 추가 금리 우대 신설(제주은행) △청년특화저금리상품 핀셋론 확대(신한카드) 등을 할 예정이다.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위한 시드머니 마련도 지원한다. 목돈마련적금과 청년특화금융상품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총 2조 7000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신한은행은 총 한도 2조 원의 ‘청년목돈마련적금’에 가입하는 청년층에는 1%포인트 금리를 우대해준다. 제주은행과 신한저축은행도 각각 0.5%포인트 우대금리를 제공한다. 청년특화금융상품의 경우 신한금융투자 등이 지원에 나선다. 총 4000억 원 한도 내에서 청년층이 중개형 ISA나 펀드 가입 시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판매 수수료나 투자 지원금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아울러 청년층 고용 창출 차원에서 앞으로 5년간 총 7000명을 채용한다. 그룹 차원에서 매년 800명씩 향후 5년간 4000명, 장애인이나 다문화 자녀 등 사회적 취약계층 2000명 등이다. 여기에 청년 인턴십을 신설해 1000명을 뽑을 예정이다. 신한금융은 청년층 취업·창업을 지원하기 위해 1675억 원을 배정했다. 이를 통해 신한금융은 향후 5년간 1만 명의 청년 고용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밖에도 신한금융은 청년층 출산·육아 지원에 325억 원, 장애 청년 일자리·교육 지원에 175억 원 등 총 500억 원을 지원한다.
금융권에서는 신한금융그룹의 이번 프로젝트가 ‘금융사의 공공의 역할’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된 데다 금융 당국이 금융사의 ‘공공적 기능’을 압박한 점이 맞물리며 나온 것으로 보고 있다. 코로나19 장기화에도 불구하고 금융지주들은 매 분기 사상 최대 순이익을 거뒀다. 이를 두고 금리 상승기를 이용해 금융사들이 ‘이자 장사’에만 골몰했다는 비판이 제기돼왔다. 금융지주의 순이익 대부분은 대출 영업에 따른 이자 이익 비중이 높은 상황에서 은행이 주식회사이기는 하지만 다른 기업보다 공공성이 더 요구된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지난달 23일 열린 금융연구기관장과의 간담회에서 “우리 헌법과 은행법 등 관련 규정에 따라 은행의 공공적 기능은 분명히 존재한다”면서 은행의 ‘고통 분담’ 필요성을 강조했다.
금융권에서는 신한금융의 프로젝트가 금융지주는 물론 여타 금융사들에 공공적 기능의 가이드 라인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당장 은행권에서는 국민은행이 이르면 이달 중 '가계대출 지원 종합 대책' 발표를 준비 중이다. 국민은행은 지난 4월에 이어 취약계층 등을 대상으로 가계대출 금리를 추가 인하하고 각종 금융 부대비용 수수료를 면제해 주는 내용 등을 발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고금리 대출을 이용하는 개인 사업자 등 기업을 대상으로 금리를 낮춰준 사례도 있다. 하나은행은 11일부터 고금리 대출을 이용 중인 개인 사업자와 새희망홀씨대출 상품을 이용하는 취약계층에 대해 금리 인하를 해주기로 했다. 고금리 대출을 이용하는 개인사업자 고객의 대출 만기 시점에서 연 7%를 초과하는 금리에 대해서는 최대 1%포인트, 새희망홀씨대출 신규 신청 고객에게도 최대 연 1%포인트 금리를 낮춰준다. 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자체적으로 여신 상품 금리를 인하한 곳도 있다. 신한은행은 6월 말 기준으로 연 5% 넘게 이자를 내는 주택담보대출 고객의 금리를 1년 간 연 5%로 감면하기로 결정해 약 3300여 명이 이자 감면 혜택을 받게 될 예정이다. 우리은행은 지난달 24일부터 고정금리 대출에 적용하던 1.3%포인트의 우대금리 적용 대상을 기존 7등급 이내에서 10등급까지 확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