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전남 ‘솔라시도 기업도시’에 2조 투자 프로젝트

대우건설·엠디엠자산운용 합작사

道와 수소발전소 건립 협약 체결

스마트팜 조성 등 신산업 유치도

전남도청 전경. 사진 제공=전남도전남도청 전경. 사진 제공=전남도




김영록(가운데) 전남도지사가 명현관 해남군수, 임상업 전남인프라에너지 대표, 박재용 엠디엠자산운용 대표, 조승일 대우건설 본부장이 7일 전남도청에서 솔라시도 기업도시에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스마트팜을 조성하는 투자협약식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전남도김영록(가운데) 전남도지사가 명현관 해남군수, 임상업 전남인프라에너지 대표, 박재용 엠디엠자산운용 대표, 조승일 대우건설 본부장이 7일 전남도청에서 솔라시도 기업도시에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스마트팜을 조성하는 투자협약식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전남도


전남도가 민선 8기 시작과 맞물려 2조 원대 대규모 프로젝트 사업을 체결하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청신호가 켜졌다.

전라남도는 7일 도청에서 대우건설과 엠디엠자산운용의 합작법인인 전남인프라에너지와 전남 해남군 솔라시도 기업도시에 2조 원 규모의 수소연료전지발전소와 스마트팜을 조성하는 투자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대우건설의 기술력과 엠디엠자산운용의 자금력을 결합한 대규모 프로젝트다. 이번 협약으로 민선 8기 1호 결재이자 공약인 ‘첨단·전략산업 30조 원 투자 유치’ 목표 달성을 위해 첫발을 내딛었다.



이번 사업은 솔라시도 기업도시 개발 이후 투자금액으로 역대 최대다. 전남인프라에너지가 2026년까지 2조 원을 투자해 200MW급 수소연료전지발전소와 최첨단 스마트팜 등 융복합 시설을 조성하는 게 핵심이다. 200MW급 수소연료전지발전소는 33만세대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관련기사



도는 사업이 정상적으로 추진될 경우 300명 이상의 신규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내년 상반기부터 2026년까지 시설구축 기간 동안 월 평균 500여명의 건설 인력 일자리가도 창출될 전망이다.

수소연료전지는 수소를 저장하지 않고 즉시 전기를 생산하기 때문에 폭발과 화재 위험성이 없어 안전하다. 미세먼지 정화 효과도 탁월해 에너지 및 환경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세계 최대 규모인 800여MW의 수소연료전지발전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66만㎡(약 20만평) 규모의 스마트팜 시설은 수소연료전지 발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와 온수 등을 스마트팜 시설 내 작물 생육과 난방에 사용해 사업간 시너지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계기로 주민 소득 증대와 스마트 영농에 적합한 청년층 인구 유입 효과는 물론 향후 조성 예정인 유럽마을 등과 연계한 기업도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솔라시도 기업도시의 경쟁력을 끌어올릴 인프라 구축도 빨라질 전망이다. 도시가스의 경우 투자기업이 영암군 삼호읍과 솔라시도간 5km 정도에 대한 가스 인입 공사를 직접 시행함으로써 기업도시와 인근 마을에 도시가스 공급도 예정 공급기간보다 앞당겨질 것으로 기대된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전남도가 이번 투자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해 우리나라의 탄소중립을 견인해 나가고 세계 1등 수소산업의 메카로 우뚝 서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무안=김선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