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현대차그룹, 친환경차 배터리 명칭 ‘리튬이온 배터리’로 통일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 용어 사용 않기로

“전해질 소재로 폴리머 첨가되는 경우 없어”

현대차·기아 서울 양재동 본사. 사진 제공=현대차그룹현대차·기아 서울 양재동 본사. 사진 제공=현대차그룹





현대자동차그룹이 친환경차에 탑재되는 고전압 배터리의 명칭을 ‘리튬이온 배터리’로 일원화한다고 8일 밝혔다. 그간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와 ‘리튬이온 배터리’ 용어를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고 사용해 혼란을 빚어온 만큼 앞으로는 명칭을 통일하겠다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기아(000270)는 최근 출시한 신형 니로EV에 중국 CATL 배터리를 탑재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을 빚은 바 있다. 앞서 공개된 니로EV 가격표에는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가 장착된다고 표기됐다. 하지만 이후 안내책자에는 리튬이온 배터리로 명시돼 의문이 제기됐다. 특히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라는 표기가 LG에너지솔루션 등 국내 배터리사의 제품을 활용한 것으로 오해를 불러일으키면서 일부 소비자들이 불만을 표시하기도 했다.

현대차(005380)그룹에 따르면 통상 배터리 셀 내부의 전해질에 폴리머가 첨가된 경우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라고 명명한다. 액상 전해질이라면 리튬이온 배터리로 구분한다. 현대차그룹은 이날 홈페이지에 게재한 고객 안내문에서 “친환경차에 요구되는 성능과 내구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모든 고전압 배터리에는 액상 전해질이 사용되며 전해질 소재로 폴리머가 첨가된 경우는 없다”며 “문헌적 의미의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는 친환경차 관점에서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그간 자동차 업계 등에서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라는 용어를 사용한 이유에 대해서는 “전해질이 아닌 음극 및 양극, 분리막 등에 폴리머 성분이 함유된 배터리도 넓은 의미에서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로 표현한다”고 설명했다. 실제 현대차, 기아, 제네시스 브랜드의 친환경차에 탑재되는 모든 고전압 배터리의 셀 내부 양·음극, 분리막에는 폴리머 성분이 첨가된다.


김지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