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고유가에…바이든, 알래스카 유전 개발 카드도 쓰나

백지화 몰렸던 노스슬로프 프로젝트

美내무부, 새로운 환경영향평가 발표

하루18만 배럴 생산, 환경 오염 불가피

NYT "중간선거 앞둔 바이든의 딜레마"

미국에서 기름값이 가장 비싼 지역 중 하나인 캘리포니아 지역 주유소/AFP 연합뉴스미국에서 기름값이 가장 비싼 지역 중 하나인 캘리포니아 지역 주유소/AFP 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알래스카주 북부 유전 지대인 노스슬로프 석유 시추 프로젝트에 다시 시동을 걸었다. 고유가에 시달리는 조 바이든 대통령이 자국 내 증산을 모색한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미국 내 환경 단체들의 반발도 거세다.

CNN에 따르면 미국 내무부는 8일(현지 시간) 석유 회사 코노코필립스가 추진 중인 ‘윌로 프로젝트’라는 이름의 유전 개발 계획에 대한 새로운 환경영향평가를 발표했다. 이는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중요한 단계 중 하나를 밟은 것이라고 CNN은 전했다.



이 프로젝트는 알래스카 국립석유보호구역(NPR) 내 유전을 개발해 60억 달러(약 7조 8000억 원) 규모의 석유를 생산하는 대규모 개발 사업이다.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 당시 승인된 이 프로젝트는 지난해 법원이 환경영향평가의 미비점을 지적하면서 백지화될 위기에 놓였으나 바이든 행정부가 새로운 평가 결과를 발표하면서 사업에 다시 속도가 붙게 됐다.

관련기사



평가 결과에 따르면 이 프로젝트는 하루 최대 18만 배럴의 석유를 생산하고 향후 30년간 2억 7800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것으로 추정된다.

공화당 의원들과 조 맨친 민주당 상원 의원 등은 미국 내 석유 생산을 늘려야 한다며 적극 찬성하는 입장이다. 하지만 환경 단체들은 이것이 바이든 대통령의 기후변화 대응 목표를 파괴하는 프로젝트라고 맹비난하고 있다. 미국진보센터(CAP)의 크리스티 골드퍼스 수석부회장은 “이 프로젝트는 대기 중인 재앙”이라며 “사업이 승인되면 향후 30년 이상 국가 에너지 미래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중간선거를 앞둔 바이든 대통령이 유권자들에게 국내 원유 공급을 늘리기 위한 정부의 노력을 보여주려 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 정부는 45일간의 여론 수렴을 거쳐 올해 프로젝트에 관한 최종 결정을 내릴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윤홍우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