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단독]'한일 인적교류 상징' 김포~하네다, 25일부터 매일 뜬다

한일, 지난달 29일 김포~하네다 노선 운항 재개

승객 수요 증가·항공사 상황 등 고려해 증편키로

이달 25일 이후 매일 운항하는 안 유력 검토 중

1일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 국제선 청사에서 이용객들이 일본 도쿄 하네다공항으로 향하는 전일본공수 항공편 탑승 수속을 위해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연합뉴스1일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 국제선 청사에서 이용객들이 일본 도쿄 하네다공항으로 향하는 전일본공수 항공편 탑승 수속을 위해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연합뉴스





한국과 일본이 지난달 말 복원한 김포~하네다 항공 노선을 25일부터 매일 운항할 것으로 보인다. 당초 주 2회 운항에서 주 7회 운항으로 대폭 늘리는 셈이다.

관련기사



13일 서울경제 취재 결과 한일은 지난달 29일 운항을 재개한 김포~하네다 노선을 이달 25일 이후 매일 운항하는 안을 현재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22일 김포~하네다 노선 재개를 발표하며 승객 수요 증가 추세와 항공사 준비 상황 등을 고려해 이달 중 증편에 나서겠다고 설명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이른 시일 내 양국 정부 발표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양국은 지난달 29일부터 김포~하네다 운항을 재개한다고 같은 달 22일 발표했는데, 이에 따라 현재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일본항공, 전일본공수 등 4개사가 주 2회씩 총 8회 운항하고 있다. 2003년 운항을 시작한 김포~하네다 노선은 한일 간 대표적인 비즈니스 노선으로 꼽힌다. 특히 김포공항과 하네다공항은 한국의 인천공항, 일본의 나리타공항과 비교해 수도 도심과의 접근성이 우수해 성수기 탑승률이 98%에 육박하는 '황금 노선'으로 평가받아왔다. 2019년에는 정기편만 주 21회 운항할 정도였다. 그러나 2020년 3월 코로나19 대유행 영향으로 운항이 중단됐다.

이에 윤석열 대통령은 취임 전인 올해 4월 일본에 한일정책협의대표단을 파견해 김포~하네다 노선 운항 재개를 제안했고 지난 5월 취임식 계기 한일의원연맹 소속 의원 등을 면담한 자리에서도 조속한 노선 재개를 강조했다. 이후 국토부와 일본 국토성, 외교부와 일본 외무성 간 협의를 통해 양국은 김포~하네다 노선 복원을 발표했고, 정부는 향후 김포~하네다 노선 운항을 2019년 수준인 주 84회까지 확대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박경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