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분양

공사중단 석달째 핵심쟁점 이견 여전 …둔촌주공 앞으로 한달이 분수령

내달 23일 사업비 대출 만기 도래

시공단·정상위 '별도 협의체' 구성

조합 "8000억 대출 확보해뒀다"

2022년 4월 15일 공사가 멈춘 서울 강동구 둔촌동 ‘둔촌주공 재건축(올림픽파크 포레온)’ 사업장 전경. 이덕연 기자2022년 4월 15일 공사가 멈춘 서울 강동구 둔촌동 ‘둔촌주공 재건축(올림픽파크 포레온)’ 사업장 전경. 이덕연 기자




서울 강동구 둔촌동 ‘둔촌주공 재건축(올림픽파크 포레온)’ 사업이 15일로 공사 중단 3개월째에 접어들었지만 조합과 시공단은 여전히 조합 내부 상가 분쟁 등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7000억 원의 사업비 대출 만기가 도래하는 다음 달 23일까지 남은 약 1개월이 사업 정상화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4일 정비 업계에 따르면 둔촌주공 현 조합에 반대하는 ‘둔촌주공 정상화위원회(정상위)’와 시공사업단(현대건설·HDC현대산업개발·대우건설·롯데건설)은 이달 13일 ‘공사재개 및 조합파산방지를 위한 조합원·시공사업단 협의체’를 구성했다. 협의체 구성을 위한 합의문에는 양측이 조합 사업비 대출 만기 도래 및 이주비 대출 유예 상황에 대해 공동으로 대응하는 것을 비롯해 공사 재개를 위한 협의를 진행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시공단이 현 조합 집행부를 사실상 ‘패싱’하고 별도의 소통 채널을 만든 셈이다.

관련기사



조합과 시공단은 여전히 조합 내부 상가 분쟁 등 핵심 쟁점에 대한 의견 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앞서 서울시는 이달 7일 브리핑을 통해 서울시 중재로 조합과 시공단이 9개 쟁점 사항 중 8개에 대해 합의했다고 발표했지만 조합은 같은 날 오후 이를 부인했다. 서울시 브리핑에서 조합·시공단 간 이견 사항으로 지목된 조합 내부 상가 문제는 분쟁 당사자인 옛 PM(Project Management·사업대행)사가 현 조합과의 협의를 거부하면서 진전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약 한 달 뒤인 8월 23일이면 약 7000억 원의 사업비 대출 만기가 도래한다. 조합이 이를 변제하지 못하면 시공사가 대위 변제를 해야 한다. 시공단은 대위 변제 시 구상권 청구를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최악의 경우 조합이 파산하게 돼 조합의 ‘아킬레스건’으로 지목됐다. 이와 관련해 조합은 “8월 23일 사업비 7,000억 원의 만기 상환 방법이 마련됐다”며 “최종적으로 주간 금융기관으로부터 8000억 원 규모의 대출 관련 확정 통보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고준석 제이에듀투자자문 대표는 “조합이 현실을 직시하고 상가 문제와 시공단과의 협의에 보다 전향적인 자세로 나서야 파산 등 최악의 시나리오를 막아 조합원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조언했다.


이덕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