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이슈

5060 액티브 시니어가 주목하는 생숙… '별내자이 더 스타' 이그제큐티브 분양

재정적 여유 높은 5060 액티브 시니어 세대…부동산 시장 큰 손 부상




사진 설명. '별내자이 더 스타' 이그제큐티브·오피스텔Ⅱ 조감도 (제공. GS건설)사진 설명. '별내자이 더 스타' 이그제큐티브·오피스텔Ⅱ 조감도 (제공. GS건설)



별내신도시에서 공급되는 ‘별내자이 더 스타’ 이그제큐티브(생활숙박시설)가 5060 액티브시니어 맞춤형 상품으로 주목을 끌고 있다.


부동산 시장에서 5060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이들이 주목하는 부동산 상품이 부상하고 있다. 최근 특화 설계와 디자인을 갖춘 부동산 상품에 선호가 커지면서 액티브 시니어 맞춤형 부동산 상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통계청 2021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가구주의 평균 자산은 50세가 5억 903만원으로 가장 많게 나타났으며, 60세 이상이 4억 2,701만원으로 그다음을 이을 정도로 경제적 여유가 크게 나타났다. 시니어 플랫폼 시니어인사이트랩의 2021년 조사 결과에 따르면 10명 중 5명이 ‘가족보다 나를 위해 소비(53.1%)’하며, ‘나를 위한 시간과 돈 투자에 아끼지 않는다(68.8%)’고 답변 했을 정도로 액티브 시니어는 경제적 여유와 소비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인구 대비 높은 인구 비중도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행정안전부에서 발표한 ‘2021 연령별 인구 현황’ 통계에 따르면 5060세대의 비중은 전체 인구 대비 약 31%(약 1,500만명)에 달할 정도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처럼 5060 액티브 시니어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다양한 편의 시설과 특화 설계를 갖춘 부동산 상품에 5060 액티브 시니어의 러쉬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부동산 상품 가운데 생활숙박시설은 주택 보유수에 포함되지 않고 분양권 전매도 자유로워 5060 액티브 시니어 세대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경기도 남양주 별내신도시 특별계획구역 상업3·4·5블록에서 분양 중인 ‘별내자이 더 스타’ 이그제큐티브·오피스텔II가 주목을 끌고 있다.


생숙과 오피스텔로 구성된 ‘별내자이 더 스타’ 이그제큐티브·오피스텔II는 지하4층~지상 최대 29층 규모로 조성되며, 생활숙박시설 총 604실, 오피스텔 156실 규모 구성이다.

관련기사



생활숙박시설은 전용면적 59~92㎡, 오피스텔은 전용면적 84㎡로 구성된다. 블록별로는 ▲상업3BL 생활숙박시설 255실, 오피스텔 156실, ▲상업4BL 생활숙박시설 184실 ▲상업5BL 생활숙박시설 165실 등이다.

‘별내자이 더 스타’ 이그제큐티브·오피스텔II에는 생활숙박시설과 오피스텔 모두 일상에 필요한 가전, 가구 등을 제공하는 풀퍼니시드 시스템이 적용된다. 가전은 양문형 냉장고, 광파오븐, 식기세척기, 워시타워(세탁기, 건조기), 시스템 에어컨, 시스클라인 등이 제공된다. 또한 생활숙박시설의 경우 조식과 하우스키핑, 펫케어, 카셰어링 등 호텔에 버금가는 컨시어지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5060세대가 선호하는 쾌적한 환경도 갖췄다. 별내신도시를 둘러싸고 있는 불암산, 수락산 등 숲세권 환경을 비롯해 갈매천, 용암천 산책로, 별내 체육공원, 별내 카페거리 등도 자리해 일상에서 휴식을 누릴 수 있다.

편리한 교통 환경도 메리트다. 현재 운행 중인 경춘선을 비롯해 추후 8호선 연장선(예정), GTX-B노선(계획) 등이 개통되면 강남권 및 서울역, 용산, 여의도 등 주요 업무지구 접근이 용이해질 전망이다.

별내신도시 북쪽으로 서울역 등 주요 업무지구에 닿을 수 있는 지하철 4호선 별내별가람역도 있어 서울 중심부 접근이 편리하며, 여기에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를 비롯해 구리(세종)~포천고속도로 등 사통팔달 교통망을 갖춰 광역 도시 이동도 용이한 것이 특징이다.

한편, '별내자이 더 스타' 이그제큐티브·오피스텔Ⅱ는 현재 선착순 동호수 지정 계약 중이다.

분양 홍보관에는 총 3개의 유니트가 마련되어 있다. 생활숙박시설은 59㎡B 타입, 92㎡A타입 등 2개 타입의 유니트가 마련돼 있으며, 오피스텔은 84㎡A 타입의 유니트를 관람할 수 있다.

김동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