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두자릿 수 영업이익률 향해 체질개선 나서는 대웅제약…CDMO 사업 가속화··신약개발 강화

세포처리시설 허가 획득하며 CDMO 사업 모든 조건 갖춰

하반기 당뇨 신약 허가 예상, 섬유증 치료제 다국적 2상 계획





대웅제약(069620)이 전통 제약사 이미지를 벗고 본격적으로 체질 개선에 나서고 있다. 핵심은 첨단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과 신약 개발이다. K바이오가 핵심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CDMO 시장 진출과 함께 ‘블록버스터’ 신약 개발을 통해 수년 째 한자릿 수에 머물고 있는 영업이익률을 두자릿 수로 끌어 올려 고부가가치 기업으로 탈바꿈하려는 전략으로 보인다.

대웅제약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첨단재생의료세포처리시설(세포처리시설) 허가를 받았다고 20일 밝혔다. 지난해 1월과 올 4월 첨단바이오의약품 제조업과 인체세포 등 관리업 허가를 받은 뒤 이번에 세포처리시설 허가까지 받으면서 바이오의약품 CDMO 사업에 필요한 모든 조건을 갖추게 됐다.





CDMO는 위탁생산(CMO) 영역을 넘어 연구개발(R&D) 단계부터 임상, 제조 등 모든 과정을 수행한다. 최근 바이오의약품 분야에서는 개발 리스크를 분산하고 R&D 효율을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CDMO를 적극 활용하는 추세다. 류재학 대웅제약 바이오R&D본부장은 “획득한 3가지 허가를 활용해 CDMO 사업을 가속화할 수 있게 됐다"며 “세포·유전자치료제와 첨단바이오의약품 제조·개발, 품질시험, 인허가 지원, 보관, 배송, 판매를 아우르는 ‘올인원 패키지’ 사업을 전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신약 분야에서는 최근 국산 34호 신약인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스클루’를 국내 시장에 출시한 데 이어 하반기에는 당뇨병 신약 '이나보글리플로진’ 품목허가 획득을 추진하고 있다. 이나보글리플로진은 나트륨·포도당 공동수송체(SGLT-2) 억제 기전의 당뇨병 신약으로 국내 제약사 중에서는 대웅제약이 최초로 개발을 시작했다.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 임상 3상에서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하고 4월 식약처에 품목허가 신청을 완료한 상태다. 이외에도 섬유증 치료제 신약 ‘DWN12088’도 개발하고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이 약물을 2019년 특발성 폐섬유증에 대해, 지난해에는 전신피부경화증에 대해 희귀의약품으로 지정했다.

대웅제약이 CDMO·신약개발 등 고부가가치 산업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중장기적으로 영업이익률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다. 이 회사의 영업이익률은 연결기준 2018년 2.68%, 2019년 4.01%, 2020년 1.61%로 악화했다. 다만 지난해 7.71%로 급반등한 데 이어 올 1분기에도 7.72%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수익성 제고에 대한 회사의 의지가 강하다"며 “고부가가치 신사업을 통해 수익성을 높이고 R&D 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 구축에 올인하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맹준호 기자·김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