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폭염에 갇힌 美…바이든 "기후변화 존재론적 위협, 3조 인프라 투자"

국가 비상사태까지는 선포 안해

조 바이든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매사추세츠주를 방문해 기후변화에 대한 연설을 하고 있다./연합뉴스조 바이든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매사추세츠주를 방문해 기후변화에 대한 연설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기후변화를 전 세계와 미국에 대한 존재론적 위협으로 규정하고 대규모 인프라 투자 방안을 내놓았다. 그러나 기후변화에 공격적으로 대응하라며 지지층이 요구해오던 국가 비상사태까지는 선포하지 않았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매사추세츠주를 방문해 한 연설에서 기후변화에 비상 대처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대통령으로서 나라가 명백하고 위험에 직면했을 때 긴급하게 행동할 책임이 있다”며 “그것이 기후변화에 관한 것”이라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또 "1억명의 미국인이 고온으로 고통받고 있다"며 "경악스러운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위기는 우리의 매일의 일상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23억달러(약 3조176억원) 규모의 연방재난관리청(FEMA) 자금을 투입, 기후 변화 및 고온 현상에 대처할 기간 시설 투자에 나설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멕시코만 인근 70만에이커(약 2,833㎢) 규모 부지에 풍력 발전 시설을 건설, 친환경 에너지 생산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공개했다.

관련기사



백악관 기후변화 자문관인 지나 매카시는 이와 관련, 바이든 대통령이 조만간 추가 행정 명령을 내놓을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기후변화 대응은 바이든 대통령이 가장 역점적으로 추진해온 정책이지만, 미 의회에서 예산이 확보가 안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3,000억 달러(390조 원)에 달하는 예산 확보를 추진했으나 ‘여당 내 야당’이라 불리는 조 맨친 민주당 상원 의원이 이를 반대하는 바람에 의회 입법을 통한 예산 확보에는 사실상 제동이 걸린 상황이다.

이에 따라 바이든 대통령이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는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보도 했으나 백악관은 이에 대해 신중한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워싱턴=윤홍우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