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국민통합위 출범…위원에 김민전·이자스민 등 위촉

尹 “통합은 가치의 공유로 이뤄져”

김한길 위원장 “통합은 시대정신”

4개 분과에 민간위원 24명 위촉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민통합위원회 출범식에서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민통합위원회 출범식에서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새 정부 1호 대통령 직속 위원회인 국민통합위원회가 27일 출범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민통합위원회 출범식에 참석해 민간위원 24명을 직접 위촉했다. 신설된 국민통합위원회는 앞서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때 국민통합을 위한 정책과 사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만든 국민통합위원회를 상설화한 것이다. 김한길 전 민주당 대표가 초대 위원장을 맡았다.

윤 대통령은 모두 발언에서 “통합은 가치의 공유를 전제로 이뤄지는 것”이라며 “자유, 인권, 법치, 연대라는 보편적 가치가 통합의 밑거름”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 역량 결집만큼 중요한 것이 위기를 극복하겠다고 하는 국민들의 단결된 뜻”이라며 “국민 신뢰를 바탕으로 미래를 위해 꼭 필요한 어려운 개혁 과제들이 진전을 이룰 수 있도록 과제의 선별과 추진 방안에 대해 여러분들께서 많은 고견을 주시고 도와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김 위원장은 “국민통합은 우리 사회의 도약과 발전을 준비하기 위한 미룰 수 없는 과업이자, 반드시 이뤄야 하는 시대정신이라는 점에서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며 “국민통합위원회는 담론 수준에 그쳤던 기존 위원회 방식을 탈피하여, 실용적인 대안을 마련할 수 있는 ‘문제해결형 위원회’로 운영하겠다”라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민통합위원회 출범식에서 김한길(왼쪽) 국민통합위원장의 국민통합위 비전 소개를 듣고 있다. 연합뉴스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민통합위원회 출범식에서 김한길(왼쪽) 국민통합위원장의 국민통합위 비전 소개를 듣고 있다. 연합뉴스



위원회는 기획, 정치·지역, 경제·계층, 사회·문화 등 총 4개의 전문 분과로 나눠진다. 기획 분과는 국민통합위원회 운영을 총괄 기획,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새정치민주연합 정책위의장을 지냈던 최재천 전 의원이 분과위원장을 맡는다. ‘88만원 세대’ 저자로 유명한 우석훈 성결대 교수, 이우영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차인순 국회의정연수원 겸임교수가 위원으로 합류했다.

관련기사



정치·지역 분과는 협치의 정치문화 구현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지난 대선 때 국민의힘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았던 김민전 경희대 교수가 분과위원장이다. 위원에는 김영우 전 의원, 최명길 전 의원, 이현출 건국대 교수, 정회옥 명지대 교수, 정용화 코리안드림네트워크 이사장 등이 임명됐다.

경제·계층 분과는 기업 상생 환경과 경제 격차 개선 방안을 모색한다. 대선 캠프 초기에 좌장 역할을 했던 이석준 전 국무조정실장이 분과위원장으로 한정화 한양대 명예교수, 이수형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김희정 ‘째깍악어’ 스타트업 대표 등이 활동할 예정이다.

사회·문화 분과는 과학, 복지, 문화, 예술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 위원들이 현안을 다룬다. 윤정로 울산과학기술원 석좌교수가 분과위원장을 맡았다. 방문석 국립교통재활병원 원장, 강수진 국립발레단장, 이자스민 전 의원 등이 위원으로 합류했다.

한편 김 위원장은 청사 브리핑룸에서 기자들과 만나 ‘(윤 대통령의) 정치적 멘토로서 국민 통합을 위해 (사면과 관련해) 어떤 결정을 내리는 게 바람직하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질문 속에 답이 있다”며 “국민통합을 위해 의미 있는 사면의 내용이 어떻게 되면 좋겠는가 하는 건 국민통합위원들께서 생각이 있다면 제게 말씀하실 것이다. 그걸 종합해서 필요하다면 윤 대통령에게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과거 ‘부정선거’ 관련 발언으로 논란을 빚었던 김민전 교수, 여성가족부를 확대 개편해야 한다는 주장을 했던 차인순 겸임교수 등의 위원회 합류 적절성을 묻는 질문엔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서 다양한 목소리가 하나로 모이는 과정이 통합”이라고 말했다.


김남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