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세현 前 장관 "유엔사가 강제 북송 모르고 승인? 비현실적"

"文 통치행위에 대해 유엔사의 허락 운운하는 게 부끄러워"

김연철 전 통일부 장관 "3년 전 발표 자료에서 추가로 덧붙일 내용 없어"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이 지난 5월 23일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에서 엄수된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3주기 추도식에서 추도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이 지난 5월 23일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에서 엄수된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3주기 추도식에서 추도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권영세 통일부 장관이 “2019년 11월 탈북 어민이 북송될 당시 유엔군 사령부는 '강제 북송'이라는 점을 모르고 승인했다”고 말한 것에 대해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은 “지금 와서 둘러대는 비현실적인 이야기”라며 “(강제 북송에 대한) 내용을 얘기하지 않고 승인받진 않았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대중·노무현 정부 당시 통일부 장관을 지낸 정 전 장관은 27일 YTN 라디오 '뉴스킹 박지훈입니다'에서 "판문점을 들락날락할 때는 육하원칙으로 정확하게 정리를 해서 제출해야 승인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권 장관의 말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관련기사



이어 "무턱대고 출입신청을 했는데 허가가 나왔다(는 건가)"라며 “유엔사가 나중에 내용을 알고 화를 낼 정도로 우리나라가 그렇게 속국인가. 왜 자꾸 우리나라를 왜소하고 부끄럽게 만드는가”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설사 그런 일이 있었다 하더라도 난 그런 얘기 못 한다”며 "일국의 장관이 나라를 부끄럽게 만든다"고 말했다.

정 전 장관은 어민 북송 결정은 문재인 전 대통령의 통치행위라면서 “통치행위를 가지고 유엔사의 허락을 받았느니 말았느니 하는 게 참 부끄러운 일”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어민 북송 당시 통일부 장관이었던 김연철 전 장관이 27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 김연철 전 통일부 장관 페이스북 캡처어민 북송 당시 통일부 장관이었던 김연철 전 장관이 27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 김연철 전 통일부 장관 페이스북 캡처


한편 어민 북송 당시 통일부 장관이었던 김연철 전 장관은 같은 날 페이스북에 “16명을 살해한 흉악범을 결과적으로 풀어주자는 현 정부의 주장에 동의할 국민은 많지 않을 듯 하다”며 "여러 언론 보도에도 대응을 하지 않은 이유는 3년 전 발표한 해설 자료와 이틀간의 국회 상임위 과정에서 충분하고, 상세하게 설명을 드렸기 때문이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최근 제기되는 대부분의 쟁점도 당시 발표한 자료와 질의응답을 통해 설명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새롭게 덧붙일 내용이 없다"고 전했다.


김후인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