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SK이노베이션, 2분기 영업이익 2.3조원…또 ‘역대 최대’

전년比 319% ↑…매출 19.9조원

글로벌 공급 불안·석유제품 수출 물량 증가 영향

배터리 영업익 -3266억원… 적자폭 확대

배터리·소재 부문에 20조원 ‘대규모’ 투자 계획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SK 서린사옥.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SK 서린사옥.




SK이노베이션(096770)이 고유가와 정제마진 초강세에 힘입어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미래 친환경 에너지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배터리·소재 부문에 20조원을 투입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SK이노베이션은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매출액이 19조905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6.89%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9일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2조3292억원으로 지난해보다 318.91% 늘었다. 이는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이었던 올해 1분기 실적(매출액 16조2615억원, 영업이익 1조6491억원)을 뛰어넘은 수치다.

SK이노베이션은 “지정학적 이슈로 인한 글로벌 에너지 공급 불안과 코로나 엔데믹 이후 석유제품 수요증가로 정제마진이 개선되고 유가 상승에 따른 석유사업 재고관련 이익 증가, 설비운영 최적화 등이 손익 개선에 도움이 됐다”며 “무엇보다 올 들어 석유제품 수출물량이 크게 증가한 것이 실적개선의 주요인이 됐다”고 설명했다.

SK이노베이션의 상반기 석유제품 수출물량은 6500만 배럴로 전년 대비 41.4% 증가했다. 석유사업을 포함한 화학, 윤활유, 배터리, 배터리소재 사업의 2분기 수출실적은(해외법인 매출액 포함) 전체 매출의 71%를 차지한다.




사업부문별로 보면 석유사업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인한 공급차질 우려와 포스트 코로나 기조 정착으로 인한 수요 회복 기대감으로 정제마진이 개선되면서 전분기 대비 7224억원 증가한 2조2291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관련기사



화학사업은 전분기 대비 448억원 증가한 760억원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윤활유사업은 기유판매량이 전분기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유가상승에 따른 윤활유 판가 상승과 재고관련 손익 효과 등으로 인해 전분기 대비 436억원 증가한 2552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배터리사업은 판매 물량 감소와 유럽 지역 동력비 증가 등으로 인해 마이너스(-) 3266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적자폭이 전분기 대비 소폭 증가했다. 신규 공장 가동과 판매 단가 상승으로 매출액은 1조2880억원을 달성하며 3분기 연속 1조원을 넘겼다. 하반기에는 미국 조지아 1공장, 헝가리 2공장 등 신규 공장의 수율 안정화 및 중국 옌청 2공장 가동을 통한 외형성장이 지속되면서 수익성이 개선될 것이라고 회사는 내다봤다.

SK이노베이션은 친환경 사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 계획도 발표했다. 배터리·소재 부문에 2018년부터 올해 1분기까지 8조원의 투자를 단행했으며 앞으로도 기 투자된 금액을 포함해 20조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폐배터리재활용(BMR) 사업도 본격 추진해 2025년부터 상업 가동을 한다는 방침이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해 스토리데이에서 2025년까지 5년간 총 30조원을 그린사업에 투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배터리·소재뿐만 아니라 수소, 소형원자로(SMR), 폐플라스틱 재활용 등 그린 에너지 투자도 가시화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올해 5월 SK㈜와 함께 SMR 기업인 미국 테라파워와 포괄적 사업협력을 맺은 데 이어 지난 달에는 미국 암모니아 기반 연료전지 시스템 전문기업 아모지에 3000만달러(약 380억원)를 투자했다.

김양섭 SK이노베이션 재무부문장은 ”SK이노베이션은 급변하는 경영 환경에서도 미래에너지와 관련된 성장동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저탄소·무탄소 에너지와 순환경제 중심의 친환경 포트폴리오 개발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며 “넷제로(탄소 순배출 0) 달성을 목표로 친환경 에너지 소재 회사로 도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전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