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상반기 전국 아파트 매매 건수 역대 최저…“서울·인천 거래, 1만건 이하”

올 상반기 아파트 매매건수 18.4만건

2006년 통계집계 이래 가장 적은 규모

서울·인천 올해 처음으로 1만건 밑돌아

대출규제·금리인상에 투자심리 얼어붙어

[연합뉴스 자료사진][연합뉴스 자료사진]




전국 아파트 매매 시장이 최근 2년간 이어진 가격 폭등 이후 급속도로 얼어붙는 모양새다. 특히 올해 상반기는 지난 2006년 매매 통계가 집계된 이래 가장 적은 규모의 거래가 이뤄졌다.



3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전국 아파트 매매 건수(신고 일자 기준)는 18만4134건으로, 2006년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같은 기간 기준으로 가장 적었다. 연도별로 6월까지 아파트 매매량이 20만건을 밑돈 것은 올해와 2019년(19만8182건)뿐이었다.

특히 상반기 기준으로 올해 전국 아파트 매매 건수는 역대 최다였던 2020년(45만2123건)과 비교해 59.3%나 줄었다. 같은 기간 서울은 4만8298건에서 9931건으로 79.4%, 인천은 3만9911건에서 7928건으로 80.1% 각각 급감했다. 서울과 인천에서 상반기 아파트 매매 건수가 1만건을 밑도는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경기도도 14만9천511건에서 3만5천549건으로 76.2% 감소했다.



2020년 상반기는 사상 처음으로 기준금리 0%대의 초저금리 시대가 열리면서 시중에 자금 유동성이 그 어느 때보다도 풍부했던 시기였다. 당시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3월에 0.50%p(포인트) 낮추는 ‘빅 컷’(연 1.25%→0.75%)을 단행한 데 이어 불과 2개월 만인 5월에 0.25%p 추가 인하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제 피해가 예상보다 크고 심각하다는 판단에서였다. 이 같은 초저금리에 따른 풍부한 자금 유동성이 부동산 시장을 자극하면서 아파트 매매 건수가 크게 늘고, 가격도 대폭 올랐다.

관련기사



그러나 지난해 하반기부터 가계부채 관리를 위한 대출 규제가 강화되고 기준금리가 지속해서 인상되자 아파트 매매 시장의 상황이 2년 만에 완전히 달라졌다. 무엇보다 기준금리 인상이 아파트 매매시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한국은행은 지난 13일 기준금리를 0.50%p 올리는 ‘빅 스텝(연 1.75%→2.25%)’을 사상 처음으로 단행했다. 여기에 기준금리의 연내 추가 인상 가능성이 높다는 시장 관측이 이어지고 있는만큼, 아파트 매수 심리는 지속적으로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다.

/연합뉴스/연합뉴스


서울 주택 유형별 매매 현황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올해 상반기 28.4%로 상반기 기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매매 급증과 가격 폭등에 따른 불안감으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 ‘빚투’(빚내서 투자)를 통해 아파트 매수에 나섰던 2030 세대의 ‘패닉 바잉’(공황 구매)도 올해 들어 잦아들었다.

부동산원 아파트 매매 통계를 보면 올해 상반기 30대 이하의 서울 아파트 매매 비중은 35.9%였다. 이 비중은 2020년 상반기 34.6%에서 2020년 하반기 40.2%로 처음 40%를 넘은 뒤 지난해에도 상반기(41.4%)와 하반기(42.0%) 연속해서 40% 이상이었다. 올해 들어 고물가와 금리 인상, 집값 하락에 대한 우려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젊은 층의 매수세가 다소 약해진 것이다.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장은 “금리가 언제까지 얼마나 오를지 모른다는 불확실성에 아파트 매수 심리가 급격히 위축되고 있다”면서 “다음 달부터 생애 첫 주택 구매자의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최대 80%로 확대되고, 대출 한도도 6억원까지 상향되지만 분위기가 반전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