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5일 국내 최초 달 궤도 탐사선(다누리)의 발사를 계기로 2031년 우리 발사체로 달 착륙선을 보내는 데 박차를 가한다. 달 착륙선 계획은 당초 문재인 정부에서는 2030년 착륙을 목표로 했으나 새 정부 들어 1년가량 늦춰졌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날 다누리 발사 직후에 “‘다누리’를 기반으로 (미국 주도 달 등 심우주 탐사를 위한) ‘아르테미스 계획’ 등 국제 대형 우주 사업에 적극 참여하겠다”고 의지를 보였다.
정부는 달 착륙선 발사를 위해 2023년부터 2031년까지 1조 9330억 원을 투자해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에 나선다. 이를 위해 예비타당성 검토를 진행 중이다. 현재 1.5톤급 위성을 지상 700㎞ 저궤도에 올리는 한국형발사체(누리호)로는 3톤급 대형 위성의 저궤도·정지궤도 안착, 달 착륙선 발사, 화성·소행성 등 심우주 탐사가 어렵기 때문이다. 오태석 과기정통부 1차관은 “다누리 후속 달 착륙 사업 예비타당성 검토를 준비 중”이라며 “누리호 이후의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이 일단 완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은 2024년 정도에는 예산이 배정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그의 전망이다.
정부는 누리호 고도화 사업도 병행해 앞으로 5년간 3~6호를 추가 발사할 계획이다. 누리호로 내년 상반기 차세대 소형 위성 2호, 2024년 초소형 위성 1호, 2026년 초소형 위성 2∼6호, 2027년 초소형 위성 7∼11호 등을 쏘아 올린다.
정부는 올 하반기부터 2035년까지 우리만의 항법 위성도 구축할 계획이다. 정지궤도 위성 3기, 경사궤도 위성 5기 등 총 8기 위성을 발사해 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KPS)을 구축해 미국의 GPS 위성 서비스를 보완하기로 했다. KPS 사업에는 올해부터 총 3조 5000억 원이 투입된다.
이창진 건국대 항공우주공학부 교수는 “50여년 전 미국과 소련의 달·화성 착륙 전쟁을 재연하듯이 미국·중국·유럽·일본·인도 등 우주 강국이 달 탐사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며 “우리도 심주우 탐사를 위해 국제 우주 협력 강화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