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대구 식수 문제 새 국면…대구·안동시장, 안동·임하댐 물 대구 공급에 ‘협력’

11일 대구시청에서 만나 논의 시작…안동·임하댐 물 공급에 원칙적으로 동의

홍 시장 “더는 구미시가 갑질하는 건 있을 수 없다”고 밝혀 해평취수장 이용 방안 폐기 시사

사진제공=대구시사진제공=대구시




대구 취수원 다변화와 관련해 대구시장과 구미시장이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 안동·임하댐 물을 대구 식수원으로 사용하는 새로운 방안에 대한 논의가 시작됐다.



홍준표 대구시장과 권기창 안동시장은 11일 대구시청 산격청사에서 만나 이와 관련해 의견을 주고 받았다.

홍 시장은 이날 “(안동댐 물을 사용하기 위한)관로를 만드는 데 1조4000억 원 가량 드는데 그 돈을 대구시와 안동시가 부담하는 게 아니다”라며 “수자원공사가 관로를 설치하면 설치비 70%는 수자원공사가, 30%는 국가가 댄다”고 설명했다.

또 “원수 가격만 비싸게 해주면 되는 것”이라며 “대구시민들이 (1인당)월 1000원 정도만 더 부담하면 (안동댐)1급수를 누릴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홍 시장은 이날 “구미시에 엎드려 사정하고 읍소하는 짓은 더는 하지 않겠다”고 밝혀 낙동강 취수원을 상류로 옮기는 ‘구미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 협정’의 폐기를 시사했다.

관련기사



안동댐과 관로를 직결하는 것에 대해 수자원공사도 적극 찬성하는 입장이라고 홍 시장은 전했다.

홍 시장은 “관료들 생각에 대구시장이 무슨 권한이 있겠느냐고 하지만 정치적 상상력으로 가면 다른 이야기”라며 “더는 구미시가 대구시에 갑질하는 건 있을 수 없다. 그런 불공정한 짓은 해서는 안 된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낙동강 물이 더는 공단 폐수 물로 오염되는 걸 철저히 막아보겠다. 구미공단 폐수 문제는 앞으로 쟁점으로 삼겠다”라고 언급, 향후 구미 국가산단 기업 입주 과정에서 대구와 구미 간 첨예한 갈등 양상도 예상된다.

이에 대해 권 시장은 “기본적인 개념은 동의한다. 안동의 입장에서 보면 깨끗한 물을 낙동강 하류에 안정적으로 보낼 의무가 있다"며 홍 시장의 제안에 원칙적으로 동의했다.

그는 “안동댐은 안동시민에게는 애물단지, 낙동강 하류 지역 시민에게는 보물단지 같은 존재”라며 “1976년 안동댐이 만들어진 이후 안동은 댐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이 물을 쓰지 못하고 (반변천 등의 물을 정수한)수돗물을 쓸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대구시와 안동시는 안동·임하댐 원수를 대구 식수원으로 사용하는 데 기본적으로 의견이 일치하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실무자 협의를 통해 추진키로 했다.


대구=손성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