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양이노켐, ‘이소소르비드’ 활용한 전기차용 친환경 접착제 개발

국내 최초 상용화한 바이오 소재 활용

화학 소재 기반 접착제 대체

전기차용 모터코어 시장 우선 공략

자동차용 접착제 시장 전반 확대 예정

삼양이노켐이 개발한 이소소르비드 기반 전기차용 친환경 접착제. 사진제공=삼양그룹삼양이노켐이 개발한 이소소르비드 기반 전기차용 친환경 접착제. 사진제공=삼양그룹




삼양그룹이 국내 최초로 상용화한 바이오 소재 ‘이소소르비드’를 이용해 개발한 전기차용 친환경 접착제로 전기차,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등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공략한다.



삼양그룹의 화학사업 계열사 삼양이노켐은 이소소르비드(상표명 노바소브)를 활용해 전기모터 생산에 필요한 친환경 접착제를 개발해 양산을 시작했다고 17일 밝혔다.

관련기사



이소소르비드는 옥수수 등 식물 자원에서 추출한 전분을 화학적으로 가공해 만든 바이오 소재로 플라스틱, 도료 생산에 적용된다. 삼양그룹은 세계 두 번째로 이소소르비드의 상용화에 성공하고 현재 삼양이노켐 군산 공장에서 연산 약 1만톤 규모의 생산 설비를 가동 중이다.

삼양이노켐은 이번에 개발한 친환경 접착제의 친환경성을 무기로 기존 화학 소재 기반 접착제를 대체할 계획이다. 이미 전기차용 모터코어에 적용 시험을 마치고 국내외 전기차 업계에 납품을 준비 중이다. 모터코어는 전기 모터의 핵심 부품으로 1mm미만의 얇은 전기 강판을 층층이 쌓아 만든다. 접착제를 이용한 모터코어는 용접 방식 대비 에너지 효율이 뛰어나고 진동, 소음 등이 개선된다.

삼양이노켐은 더 나아가 전기트램(e-Tram), UAM 등 산업용 전기모터 시장을 공략하고 자동차 부품 시장 전반으로 용도를 확대할 예정이다. 삼양사(145990)는 이소소르비드를 이용한 생분해성 폴리카보네이트(PC) 개발과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내장재 부품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강호성 삼양이노켐 대표는 “바이오 기반 이소소르비드는 석유계 소재 대비 탄소중립적이며 화학 소재를 사용했을 때보다 물성을 개선해주는 특징이 있다”며 “이소소르비드를 활용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지속 확대해 글로벌 친환경 소재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