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분양

'집값 하락 신호탄?'…청약통장 가입자도 사상 첫 감소

/연합뉴스/연합뉴스




청약 불패 지역으로 꼽히던 서울에서도 미분양 물량이 크게 증가하는 가운데 전국 단위의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 수가 사상 처음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약통장 가입자는 주택시장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지표다.



22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7월 말 기준 전국 주택청약종합저축 전체 가입자 수는 2701만9253명으로, 전달(2703만1911명) 대비 1만2658명 줄었다. 2009년 주택청약종합저축이 출시된 이후 전국 단위로 월별 가입자 수가 줄어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과 5대 지방 광역시(대전·대구·울산·부산·광주)의 가입자 수가 두 달 연속 감소했다.

서울지역 가입자 수는 지난 5월 625만5424명, 6월 625만1306명, 7월 624만435명으로 2개월 연속으로 줄었다. 감소 폭도 4118명, 7271명으로 확대됐다. 5대 광역시의 가입자 수도 같은 기간 531만1330명, 530만9908명, 530만5175명으로 2개월 연속 감소했다. 감소 폭 또한 1422명, 4733명으로 커졌다.



여기에다 지난달에는 인천·경기의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 수가 881만6737명으로, 전달인 6월(882만374명) 대비 3637명 줄어들었다.

관련기사



그간 청약 인기 지역으로 꼽힌 수도권과 5대 광역시의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 수가 지난달에 일제히 줄어든 것으로 미뤄볼 때 기타지방에서 1순위 당첨 확률을 높이기 위해 주소지를 이전했을 가능성보다는 통장 해지 수요가 늘어난 것이라는 분석에 무게가 실린다.

부동산 시장 전반의 매수 심리 위축과 매매가 하락에 따른 분양 이점 축소로 인해 청약 시장의 인기가 차갑게 식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4대 청약통장 유형(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가운데 주택청약종합저축만 신규 가입이 가능하다.

지난달에는 6월과 비교해 청약저축(39만6163명→39만4542명), 청약부금(16만2852명→16만2314명), 청약예금(100만8353명→100만5062명)의 가입자 수도 일제히 줄었다. 주택청약종합저축 외 상품에서 청약 당첨자를 제외하고도 통장 가입 해지자가 나왔을 가능성이 있다.

청약 통장 해지의 배경에는 낮은 금리도 한몫하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일반 주택청약종합저축의 금리는 연 1.8%로, 2016년 8월부터 6년째 같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한편 최근 들어 수도권은 물론 전국 집값이 하락세로 돌아선 상태다. 일선 현장에서는 초급매도 팔기 어렵다는 하소연이 나오고 있다.


김민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