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맞춤형 주거서비스 제공" 테마형 매입임대 2000가구 공모

시세 절반 임대료로 최대 20년 거주 가능

31일부터 공모…내년초 최종 선정사업 발표

서울 도봉구에 위치한 고령자 전용주택 '해심당'의 모습./자료=국토부서울 도봉구에 위치한 고령자 전용주택 '해심당'의 모습./자료=국토부




국토교통부는 입주자에게 다양한 주거서비스를 제공하는 맞춤형 매입임대주택을 공급하기 위해 약 2000가구의 '테마형 매입임대주택' 공모를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테마형 매입임대주택은 공공매입임대의 장점과 다양한 유형의 주거서비스, 입주자 맞춤형 주거 및 공유공간 등 민간 주택의 장점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공공임대주택이다. 입주자는 직주근접형 입지에서 시세 절반 이하의 임대료로 최대 20년까지의 거주 가능하다.

이번에 추진하는 공모사업은 2000가구 규모이며 세 가지 방식으로 △기획운영방식 △운영위탁방식 △특정테마방식 등 세 가지로 세분화해 실시된다.

1000가구 내외를 공모하는 기회운영방식은 민간이 자유롭게 제안한 테마가 있는 주택을 공공매입약정방식으로 건설하고 민간이 입주자에게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형이다. 운영 단계까지 고려한 맞춤형 신축주택 공급 등 민간의 창의성을 활용한 다양한 테마가 공공임대에 접목될 것으로 기대된다.



운영위탁방식으로는 312가구를 공모한다. 서울 187가구, 인천 29가구, 경기 96가구 등이다. 이는 최근 매입한 신축 주택의 운영 테마를 민간으로부터 자유롭게 제안 받아 주택운영기관으로 선정하는 유형이다.

관련기사



운영위탁방식은 건설 경험이 없는 주거서비스 관련 새싹기업(스타트업)도 참여할 수 있는 손쉬운 방식으로, 새싹기업 육성을 위해 여러 동의 매입임대 운영기관을 1개 업체로 선정하는 방식도 선보인다.

약 650가구 규모인 특정테마방식은 특화된 주거서비스를 제공 중인 중앙부처, 대학 등과 테마를 사전 기획해 민간 건설사로부터 맞춤형 주택을 매입하는 유형이다.

이번 공모에서는 장애인 자립지원(보건복지부), 예술인 지원(문화체육관광부), 청년 창업지원(연세대) 테마가 제시된다. 협업 대상 부처 및 대학은 입주자 선발, 특화 프로그램 제공 등 국토부가 매입한 주택의 특화 운영을 담당할 예정이다.

장애인 자립지원주택 '사다리주택(400가구)'은 장애인 특화 설계를 적용하고 장애인 지원 공간을 마련한다. 예술인 특화주택 '아트집(200가구)'은 예술계 대학생과 문화 작가, 음악가 등을 대상으로 공급되며 청년창업 지원주택 '이글네스트(50가구)'는 코워킹스페이스 등 커뮤니티시설을 제공한다.

자세한 공모 내용은 31일부터 한국토지주택공사 누리집을 통해 공고할 계획이다. 2차례 심사와 매입비용 협의 등을 거쳐 2023년초에 최종 선정사업을 발표한다. 테마형 매입임대 설명회는 9월 5일 오후 2시부터 LH 경기지역본부 1층 대강당에서 진행된다.

김홍목 국토부 주거복지정책관은 “이번 테마형 매입임대 공모사업을 통해 민간의 창의성·자율성과 수준 높은 주거서비스가 결합된 브랜드 갖춘 공공임대주택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라며 “테마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다양한 부처, 대학 등 역량 있는 주체와의 협력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노해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