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IB&Deal

삼진제약-아리바이오, 300억원 규모 지분 맞교한…치매치료제 성공 위해 협력 강화

제약-바이오 기술경영 동맹 협약

삼진제약, 아리바이오 지분 5.47%

아리바이오, 삼진제약 지분 8% 확보

인프라 공유 통한 신약 개발 협업

최용주(왼쪽) 삼진제약 대표이사와 정재준 아리바이오 대표이사가 30일 양사 간 ‘제약-바이오 기술경영 동맹’ 협약을 체결하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삼진제약최용주(왼쪽) 삼진제약 대표이사와 정재준 아리바이오 대표이사가 30일 양사 간 ‘제약-바이오 기술경영 동맹’ 협약을 체결하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삼진제약




삼진제약(005500)과 아리바이오가가 300억 원 규모의 지분을 맞교환하며 치매치료제를 비롯한 신약개발에 협력을 강화했다.

삼진제약은 아리바이오와 글로벌 도약을 위한 ‘제약-바이오 기술경영 동맹’ 협약을 맺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동맹협약은 지난 5월 난치성·퇴행성 질환 신약 개발 협약에서 진일보한 본격 기술경영 파트너십을 구축한 것이다. 신약 공동 연구개발의 협업 단계를 실질적으로 높이고, 자원·인프라와 플랫폼 상호 활용, 미래 글로벌 빅파마 도약을 위한 양사의 호혜적인 경영환경 구축 등을 포괄한다.



양사는 이를 위해 300억 원 규모의 상호 지분 취득을 결정했다. 삼진제약은 아리바이오의 주식 111만 1111주를 취득해 총 5.47% 지분율을 확보하게됐다. 아리바이오도 삼진제약의 자사주를 확보해 지분율 8%를 보유하게 됐다.

관련기사



삼진제약은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 임상 3상이 임박한 아리바이오의 다중기전 경구용 치매 치료제 ‘AR1001’의 국내 임상 진행 시 주도적으로 참여한다. 향후 식품의약품안전처 승인 시 국내 판매 권리에 대한 우선적 지위를 확보할 전망이다. 이어 AR1001, AR1002, AR1004 등 다른 파이프라인에도 연계해 차세대 혁신 치매 신약 개발 연구와 임상도 공동으로 착수한다.

이를 통해 삼진제약은 아리바이오가 미국에 구축한 임상과 인허가 노하우, 인프라를, 아리바이오는 삼진제약 마곡연구센터의 첨단 연구시설과 원료·완제의약품 제조시설 등 자원을 활용한다.

최용주 삼진제약 대표이사는 “당장의 현안이며, 가시권에 진입한 글로벌 치매 신약 개발에 파트너사로 참여하는 것은 물론, 향후 퇴행성 뇌질환을 비롯한 노인성 질환 치료제 개발을 다각도로 추진하는 역량과 기틀을 확보했다”며 ”장기적이고 포괄적인 상호협력 관계를 통해 성공적인 협업 모델이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정재준 아리바이오 대표이사는 “역사와 인프라, 탄탄한 경영조직을 갖춘 삼진제약과 협업으로 퇴행성 뇌질환 개발과 파이프라인 확대, 연구와 임상에서 인프라를 폭넓게 활용할 수 있게 돼 기쁘다” 며 “삼진과 함께 향후 글로벌 빅파마로 동반 성장하는데 전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재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