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오세훈표 교육 '서울런' 정부 승인…본격 확대

지원 대상 중위소득 50% 이하→85% 이하

관련 내용 정한 조례 준비, 내년 1월 시행 목표






오세훈 서울시장의 역점 사업인 ‘서울런’이 보건복지부와 사회보장제도 신설 협의 완료를 계기로 본격 확대된다. 서울런은 사회경제적 이유로 학원과 같은 교육 자원에 접근이 어려운 취약계층에게 공정한 교육 기회를 제공한다는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서울시는 출범 1주년을 맞은 서울런에 대해 보건복지부에서 지난달 30일 사회보장제도 신설 협의 완료 통보를 받았다고 1일 밝혔다. 협의 완료는 정부의 공식 승인을 의미하며 이를 계기로 서울런 서비스를 지난해 8월부터 지난달까지 1년 간의 시범사업에 이어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확보됐다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서울시는 우선 서울런 지원 대상의 소득 기준을 기존 중위소득 50% 이하에서 중위소득 85% 이하로 확대하고 다자녀 가족의 셋째 이상 자녀와 국가보훈대상자(본인, 배우자, 자녀)까지 대상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추진한다. 강의 뿐만 아니라 비용 부담이 큰 교재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지원 대상, 지원 내용, 지원 방법을 구체적으로 정한 조례를 제정해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내년 1월 공포·시행을 목표로 준비 중이며 조례 준비와 함께 보건복지부와 협의해 구체적인 확대 범위와 적용 시기를 정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아울러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 대응과 맞춤형 학습 관리 지원을 위해 ‘서울형 교육플랫폼’을 내년 7월 서비스 시작을 목표로 구축한다. 현재 서울런은 별도 플랫폼 없이 서울시 평생학습포털 사이트 일부를 사용하고 있다. 현재 서울형 교육플랫폼 구축 사업자 선정을 위한 입찰 공고를 진행 중이다.

조례 제정과 같은 제도 정비나 자체 플랫폼 구축이 필요 없는 비교과 콘텐츠와 멘토링 프로그램도 확대하고 있다. 비교과 콘텐츠는 지난 7월 1일부터 어학, 자격증, 편입학 및 교양 콘텐츠를 추가해 제공하고 있다.

멘토링 프로그램으로는 초등 중학생 150여명을 선발해 이공계열 대학생 멘토가 프로그래밍 기초부터 앱 제작 실습까지 프로그래밍 전반 과정을 15주 과정으로 지도하는 ‘서울런×아람코 코딩스쿨’, 초 중 고 퇴직 교사 멘토단을 구성해 기초 학습이 부족한 회원에게 학습지도 중심의 심화 멘토링을 제공하는 ‘서울런 시니어 멘토링’을 하반기 중 시작할 계획이다.

이회승 서울시 평생교육국장은 "중앙정부의 이해와 공감을 얻어 사회보장제도신설 협의를 끌어낸 만큼, 앞으로 더 발전된 서비스를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