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제철소 멈춰 세운 포스코 “공급 차질 최소화 노력”…최정우 “국가·경제 영향 없어야”

태풍 ‘힌남노’ 여파로 포항제철소 침수

고로 3기 피해 없지만 가동 중단(휴풍)

광양제철소 전환 가공 계획

최정우 회장 현장 찾아 복구 지휘

“고객사 피해 방지 위해 모든 방법 동원”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많은 비를 뿌리면서 6일 오전 경북 포항시 남구 포스코 포항제철소 안이 침수돼 있다. 연합뉴스제11호 태풍 ‘힌남노’가 많은 비를 뿌리면서 6일 오전 경북 포항시 남구 포스코 포항제철소 안이 침수돼 있다. 연합뉴스




포스코홀딩스가 태풍 ‘힌남노’에 따른 침수 피해로 포스코 포항제철소가 가동을 중단했다며 공급 차질 최소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7일 공시했다.

포스코그룹 지주사 포스코홀딩스는 “제철소 핵심 설비인 고로(용광로) 3기는 피해가 없었으나 일시적 가동 중단(휴풍)중이며 전기공급 회복 시 정상 가동 예정”이라 알렸다. 이어 “침수 피해를 입은 열연 라인 등 제품 생산 공정 복구시점은 미정이지만 공급 차질 최소화를 위해 노력하고, 포항제철소 생산 슬라브 일부를 광양제철소로 전환해 가공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전날 포항제철소를 찾아 피해 현장과 직원들의 안전을 살피고 비상대책회의를 주재하는 등 복구 현장을 진두지휘했다. 최 회장은 제철소와 냉천 주위 침수 지역을 우선 살피고 2열연공장과 변전실 등 피해시설을 점검했다.

관련기사



이 자리에서 최 회장은 “500㎜의 기록적인 폭우로 현장이 침수되고 공장 가동이 일시 중단되는 상황을 맞았지만 임직원들이 힘을 모아 최대한 신속하게 피해를 복구하고 조업을 정상화해 국가와 지역 경제에 영향이 없도록 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고객사 피해 방지를 위해 광양제철소 전환 생산 등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하고 수해 복구를 위해 그룹 차원의 총력 지원과 대응을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태풍 '힌남노'로 인명 구조작전과 피해복구 작전을 하는 해병대1사단 장병과 지역 소방대원이 6일 포항에서 상륙돌격장갑차(KAAV)에 탑승해 포스코 화재 발생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 제공=해병대사령부태풍 '힌남노'로 인명 구조작전과 피해복구 작전을 하는 해병대1사단 장병과 지역 소방대원이 6일 포항에서 상륙돌격장갑차(KAAV)에 탑승해 포스코 화재 발생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 제공=해병대사령부


포항 지역과 주민들에 대한 지원도 당부했다. 최 회장은 “이번 태풍은 특히 포항지역에 큰 피해와 상처를 남겼다”며 “포스코도 많은 피해를 입었지만 지역사회와 주민들이 아픔을 딛고 하루빨리 일어설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라”고 당부했다.

포스코 포항제철소는 기록적인 폭우와 하천의 범람으로 사업장 내부 상당 지역이 침수되는 피해를 입었다. 이 여파로 전날부터 포항제철소에 있는 고로 3기가 모두 휴풍에 들어갔다. 고온·고압의 열풍 공급을 멈춰 쇳물 생산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것을 휴풍이라고 한다. 휴풍이 가능한 기간은 5일 남짓으로 복구 작업이 지연돼 이 기간을 넘기면 고로 재가동을 위해 막대한 비용이 필요할 수 있다.


유창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