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화물연대·레미콘 차주 등의 수차례 파업으로 타격을 받은 공사 현장의 입주일자를 맞추기 위해 건설사들에 비상이 걸렸다. 입주일자가 늦춰지면 조합원들의 분담금이 늘어나고 시공사의 지체보상금 지출 등 문제가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8일 건설 업계에 따르면 전국 공사 현장이 올해 초부터 이어져 온 수차례의 파업으로 공사 일정이 지연되는 등 몸살을 앓고 있다. 조업일수에 영향을 미치면서 원래 예정된 입주일자를 맞추기 위해서는 현장 인력 확대 및 비용 증가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특히 부산·경남 지역의 경우 5월 민노총 산하 건설기계지부가 레미콘 운송료 인상을 요구하며 벌인 파업이 일단락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6월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의 파업이 시작돼 레미콘 운송이 막히며 타설에 어려움을 겪었다. 쌍용건설이 부산 연제구 거제동에 짓고 있는 ‘쌍용 더 플래티넘 거제 아시아드’ 아파트는 내년 1월 입주를 앞두고 화물연대 및 레미콘 차주 파업으로 공사 기간이 1~2개월가량 늦춰지는 영향을 받았다. 쌍용건설 관계자는 “현장 소장과 소통하며 어떻게든 현장 인력을 늘리고 있다”고 말했다. 인근에서 삼성물산이 시공 중인 거제동 ‘레이카운티’도 파업 영향을 받았지만 입주일(내년 11월)을 맞추기 위해 공사 현장을 타이트하게 운영하는 중이다.
수도권도 예외는 아니다. 현대건설이 시공을 맡은 부천시 계수·범박 재개발 4단지 현장은 내년 2월 입주를 앞두고 있지만 공정률은 아직 80%에 머물러 있다. 입주 예정자들은 작업 지연에 따른 부실 공사를 우려하며 시위를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현대건설은 “물가 상승과 화물연대 파업, 인건비 상승 등으로 작업이 지연됐지만 정해진 기간을 준수하기 위해 임직원 모두가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걸핏하면 파업이 발생해 건설 현장이 타격을 입는 상황과 관련해 전문가들은 정부와 건설 관련 협회가 강력 대응에 나서 불법 파업에 대해서는 책임을 함께 물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또 공기 단축에 따른 부실 공사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콘크리트 타설 후 혼화제를 사용하는 등 구조 안전성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레미콘 수급 불안이 다시 커지고 있어 건설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한국레미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는 시멘트 업계의 가격 인상에 반발해 다음 달 10일 파업을 예고한 상황이다. 여기에 서울 레미콘 수요의 30%를 담당해 온 성동구 성수동의 삼표공장이 철거된 것도 수급 불안을 키우는 요인 중 하나다. 삼표 성수공장은 생산 능력이 시간당 1080㎥로, 400~700㎥ 수준인 서울 내 다른 공장들과 비교할 때 생산량이 월등하다. 한 건설 업계 관계자는 “성수 공장이 정상 가동 중일 때도 서울 시내 건설 현장은 만성적 공급 부족을 겪어왔다”며 “레미콘은 공장 출하 후 90분 이내 운송이 완료돼야 하는데 교통 상황을 고려할 때 수도권 공장에서 서울 시내로의 레미콘 운송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특히 종로·용산·동작구 등의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건설협회 관계자는 “수도권 공장들을 활용하면 수급 문제는 해결할 수 있다”면서도 “다만 수도권에서 도심까지 레미콘을 운반하는 데 걸리는 시간·거리가 늘어나면서 납품 단가가 예전보다 높아질 가능성은 있다”고 덧붙였다.
/변수연 기자 diver@sedaily.com, 양지윤 기자 yang@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