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기·벤처

중기부, 구글 등과 손잡고 ‘글로벌 유니콘’ 키운다

비상경제장관회의서 K-스타트업 글로벌 진출 전략 발표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8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서울청사에서 발언하는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의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연합뉴스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8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서울청사에서 발언하는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의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내년부터 구글과 에어버스 등 글로벌 기업과 손잡고 국내 270개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한다.



또 국내 유망 스타트업이 세계적인 유니콘(기업가치가 10억 달러 이상 비상장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게 민간 기관과 함께 지원 사업도 진행한다. 해외 우수 인재의 국내 유치를 위해 비자제도를 활성화하고 특화 프로그램도 신설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8일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K-스타트업 글로벌 진출 전략’을 발표했다. 국내 혁신 스타트업의 글로벌화 추진을 위해 내년부터 구글, 에어버스 등 9개 글로벌 기업과 협력해 국내 270개 스타트업의 성장과 해외 진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창업·스타트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국내 협업 대기업 수도 확대한다. 5곳에서 10곳으로 늘릴 예정이다.



스케일업 단계의 유망 벤처·스타트업이 글로벌 유니콘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내년에 ‘글로벌 유니콘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이 과정에서 민간 컨설팅사를 연결해 글로벌화 전략 수립과 자금 및 네트워킹도 지원한다.

관련기사



중기부는 다른 부처와 함께 산업별 유망 스타트업 140곳을 발굴해 이들의 해외 진출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당장 이달 중에 미국에서 국내 스타트업과 글로벌 대기업, 글로벌 벤처캐피털(VC) 간 네트워킹·협업 행사를 마련한다. 국내 최대 규모의 스타트업 행사인 ‘컴업’(COMEUP)은 세계 5대 글로벌 스타트업 축제로 발전시킨다는 것을 목표로 전문성을 갖출 수 있게 민간으로 이양해 운영을 전담하게 할 계획이다.

아울러 내년부터는 재외공관 네트워크를 활용해 국내 벤처·스타트업의 해외 시장 안착을 돕는 ‘재외공관 K-스타트업 네트워킹 지원 사업’의 시범 운영도 병행한다.

벤처·스타트업이 활용할 수 있는 해외 거점도 확대한다. 롯데벤처스 등 국내 기업의 해외 인프라를 활용해 ‘K-스타트업 센터’를 베트남에 추가로 개소한다. 현재 미국과 중국, 싱가포르에 있는 한국벤처투자의 해외사무소인 ‘코리아 벤처창업 투자센터’를 유럽에도 추가 설치하기로 했다. 외국인·유학생 등 해외 우수 인재를 유치하기 위해 관련 비자 제도를 활용하고 특화 프로그램 신설도 추진한다.

이 밖에 펀드 운용과 관리를 분리하는 ‘실리콘밸리식 펀드 지배구조’, 투자 위험을 분산하는 ‘조건부지분전환계약’, ‘투자조건부융자’ 등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벤처투자제도 도입도 조속히 추진할 예정이다.

이영 중기부 장관은 “우리 벤처·스타트업이 내수 시장에만 머물지 않고 좋은 아이템과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해외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현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