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 약세로 외국인 자금 이탈이 급증하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28일 전일 대비 18원 40전이나 급등한 1439원 90전으로 마감했다. 이런 가운데 외국인들은 9월 들어 28일까지 코스피 시장에서 2조 5010억 원 , 코스닥 시장에서 6172억 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코스피 시장 전체 시가총액에서 외국인 비율은 30.68%로 금융 위기였던 2009년 8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블룸버그통신은 최근 ‘아시아 외환 위기 재연 가능성’을 보도했다. 킹달러 현상으로 위안화와 엔화 가치 하락이 지속되면 자본의 아시아 이탈이 가속화되면서 ‘제2의 아시아 외환 위기’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한국의 원화, 필리핀 페소화, 태국 밧화 등을 취약한 통화로 지목했다. 한국은 9월까지 6개월 연속 무역수지 적자가 예상되고 경상수지도 조만간 적자로 돌아설 가능성이 있다.
한미 기준금리 격차 확대도 문제다. 미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대폭 인상으로 미국의 기준금리 상단은 3.25%로 한국의 기준금리 2.5%와 비교해 0.75%포인트 더 높다. 미국이 연내 두 차례에 걸쳐 금리를 대폭 올릴 것으로 보여 우리와의 금리 격차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데도 정부는 4364억 달러(8월 말 기준)에 이르는 외환보유액만 믿고 안이하게 대응하고 있다. 최근 환율 급등에도 정부는 “우리만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하다가 1400원 선을 넘자 국민연금과 한국은행의 외환 스와프 등 땜질 대책들을 쏟아냈다. 무역수지 적자에도 정부 관계자는 “경상수지가 흑자여서 염려할 상황이 아니다”라고 했으나 이제 경상수지 적자도 임박한 상황이다. 앞으로 한미 금리 격차 확대, 경상수지 적자 전환, 경기 침체, 기업 실적 부진 등이 이어지며 외국인 자금 이탈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제2 환란’을 딴 나라 얘기로만 치부할 상황이 아니다. 경각심을 갖고 비상 플랜을 마련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