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금리 인상에 은행 군기잡기?…5대 은행장 국감 소환

이자장사·횡령사고 등 집중포화

취약 차주 금리 지원 압박 우려

업계 "근본적인 해결 방안 아냐"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 연합뉴스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 연합뉴스





국회가 올해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5대 은행장을 모두 증인으로 신청하며 ‘군기 잡기 국감’을 재현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횡령 등 금융 사고와 이상 외화 송금 등을 따져 묻겠다고 하지만 은행장들을 국감장에 세워 놓고 호통치고 윽박지르는 행태를 반복하지 않겠냐는 것이다. 특히 은행들에 이자 장사 프레임을 씌워 취약 차주 금리 지원 등 무리한 요구를 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본지 9월 24일자 10면 참조

관련기사



29일 국회와 금융권에 따르면 정무위는 다음 달 11일 열리는 금융감독원 국감에서 이재근 KB국민은행장, 진옥동 신한은행장, 이원덕 우리은행장, 박성호 하나은행장, 권준학 농협은행장 등 5대 시중은행장을 증인으로 채택했다. 정무위는 ‘횡령·유용·배임 등 은행에서 발생하는 금융 사고에 대한 책임과 내부 통제 강화 등 향후 재발 방지 대책 마련 여부’를 국감 증인 신청 이유로 밝혔다.

최근 은행에 대규모 횡령 사고를 시작으로 약 8조 6000억 원 규모의 이상 해외 송금 등 각종 금융 사고가 발생하자 은행권의 내부 통제 강화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는 커지고 있지만 ‘무더기 최고경영자(CEO) 호출’ 방식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기에 한계가 있다는 쓴소리가 나온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매년 국감 때마다 증인으로 채택된 CEO들은 ‘죄인’으로 앉아 있다”면서 “현황과 재발 방지 대책을 설명하려고 해도 정작 답변 시간은 1분도 채 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면서 한숨을 내쉬었다. 당초 이달 말 종료 예정이던 만기 연장과 상환 유예 조치 재연장 과정에서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연착륙을 돕는 등 은행의 사회적 역할이 커진 상황에서 이 같은 ‘이벤트성 국감’은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아쉬움의 목소리도 있다.

국회 내부에서조차 ‘갑질 국감’으로 변질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시중은행장이나 민간 기업인을 대량 신청해, 오래 대기하고 짧게 답변하고 돌아가는 건 ‘국회 갑질’이 아닌지 되돌아봐야 한다”고 꼬집었다.


윤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