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2030 서울 아파트 매수 뚜렷한 감소세

서울 시내 아파트 전경. 서울경제DB서울 시내 아파트 전경. 서울경제DB





한때 집값 급등을 견인했던 2030세대의 아파트 매수세가 올 들어 가파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금리 인상 기조로 대출 이자 부담이 커지는 것에 더해 집값 하락세가 확산되며 매수 열기가 식는 모양새다.

관련기사



9일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올해 1~8월 2030세대의 서울 아파트 매입 건수는 4150건으로 전체 거래 건수(1만 1996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5.0%였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비중 41.8%에서 6.18% 하락한 수치로 관련 통계가 공개되기 시작한 2019년(30.4%)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이다.

2030세대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은 계약갱신청구권과 전월세상한제를 골자로 하는 임대차 3법 여파로 전셋값이 폭등하고 집값이 연쇄적으로 뛰었던 지난해 7월 역대 최고인 44.8%까지 치솟았다. 그러나 지난해 하반기부터 본격화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등 대출 규제 강화로 지난해 12월 38.0%까지 떨어졌다. 올해 들어서는 대선 국면이 한창이었던 4월 규제 완화 기대감으로 42.3%까지 올랐으나 이후 국내 금리 인상이 본격화하면서 8월 28.6%까지 떨어져 완연한 감소세를 나타냈다.


이덕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