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2주만에 30명 사망…"입국 막아라" 美 발칵, 바이러스 정체

우간다發 에볼라 확산 우려…백신도 개발 안돼

내주부터 뉴욕JFK 등 5개 공항 입국자 검사키로

우간다 보건장관이 에볼라 환자 사망과 관련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AP연합뉴스우간다 보건장관이 에볼라 환자 사망과 관련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동아프리카 우간다에서 발병이 확인된지 2주 만에 최소 30명의 목숨을 앗아간 ‘에볼라 바이러스’가 확산하면서 미국도 비상이 걸렸다. 이 바이러스가 5가지 에볼라 아형 중 백신이 개발되지 않은 ‘수단 아형’으로 알려져 보건당국은 더욱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6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우간다에서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 사례가 잇따르자 미 보건당국은 최근 21일 이내에 우간다를 다녀온 적이 있는 방문객들에 대한 검사에 착수한다. 또 다음주부터는 뉴욕 JKF와 뉴어크, 애틀랜타, 시카고 오헤어, 워싱턴 덜레스 공항 등 미국 주요 5개 공항으로 입국한 우간다 방문객은 에볼라 검사를 받게 된다.

관련기사



아직 미국 내에서는 에볼라 확진 사례나 의심환자가 보고되지 않았지만 미 보건당국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에볼라 의심 환자, 특히 우간다 영향 지역에 있었던 환자의 상세한 여행 이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에볼라 검사는 미국인들을 포함해 모든 우간다 방문객에 적용된다. 최근 미국에 입국하는 우간다 방문객은 하루 140여 명에 달하며 이들 중 62%는 5개 공항으로 입국하고 있다.

우간다에서는 지난달 20일 에볼라 확진 사례가 알려졌다. 이후 2주도 안돼 30명 이상이 사망하는 등 바이러스가 확산하고 있다. 우간다에서 확인된 바이러스는 백신이 아직 개발되지 않은 '수단 아형 에볼라'로 전해졌다.

앞서 우간다는 지난 2000년에도 200명 이상이 에볼라로 숨지는 등 수차례 비상 사태를 겪어왔다. 에볼라는 바이러스 출혈열로 말라리아와 비슷한 열 증상 때문에 초기에 알아차리기가 어렵다.


조교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