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차값 평생 할인해 달라"…파업 나선 연봉1억 기아 노조

11일 쟁대위서 파업 최종 결의

퇴직자 차량 구매 할인 축소 반대

13~14일 부분 파업 돌입하기로

신차 대기고객 많은데 명분없는 파업 비판

서울경제DB서울경제DB




기아(000270) 노조가 파업에 돌입한다. 퇴직자에 대한 과도한 신차 할인 혜택을 줄이겠다는 회사측 제안을 거절한 것인데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여파로 국내 자동차업계가 위기에 빠진 상황에서 노조 이기주의가 도를 넘었다는 비판이 나온다.



기아 노조는 11일 쟁의대책위원회를 열고 부분 파업을 결의했다. 노조는 지난해 10년만의 무파업 결정을 내렸지만 잉크가 채 마르기도 전에 다시 파업에 돌입하게 됐다. 노조는 13일 2시간 중간 파업과 결의대회를 진행하고 14일엔 4시간 퇴근파업을 벌이기로 했다. 아울러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생산 특근 및 일반 특근도 전면 거부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노조가 파업 카드를 꺼낸 배경엔 ‘퇴직자 차량 구매 할인제도’가 있다. 이 제도는 25년 이상 근무한 사원에게 2년에 한번 차량 구매시 연령제한 없이 30% 할인을 제공한다. 하지만 회사 측은 이번 단체협상에서 이 제도의 수혜 연령을 만 75세로 제한하고, 3년 주기로 25% 할인하는 안을 제시했다. 최근 노령 운전자의 교통사고 위험성 증가에 따른 사회적 비용과 임직원에 대한 과도한 복지 혜택 제공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 여론 등을 감안한 조치다.

노사는 지난 8월30일 협상에서 잠정합의안을 도출했지만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해당안이 부결되면서 상황이 꼬였다. 노조는 2일 찬반 투표에서 임금안에 대해선 과반 이상 찬성했지만, 퇴직자 차량 구매 할인 축소 등이 담긴 단협안은 41.9% 찬성률로 부결됐다. 회사 측은 잠정합의안 부결 이후 휴가비 인상 등 재직자의 복지를 강화하는 방안을 추가로 제시했지만 노조가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노조가 1년 만에 다시 파업에 돌입하면서 노사간 긴장은 더욱 고조될 전망이다. 더욱이 자동차업계가 글로벌 공급방 붕괴와 미국의 IRA 법안 시행 등으로 위기에 놓인 상황에서 노조가 퇴직자 복지 이슈로 파업에 나서는 것에 대해 비판적인 여론이 제기된다. 사내에서도 이번 파업의 쟁점인 퇴직자 복지 축소가 장기 근속자에만 해당되는 사안이어서 2030세대를 중심으로 불만이 터져나오는 실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외 소비자들이 쏘렌토, 카니발 등 간판 차종들의 납기 기간이 길어져 인내심을 갖고 기다리는 상황에서 노조가 퇴직자 복지 이슈로 파업을 벌이는 것은 지지를 받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