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러 "G20 미-러 정상회담, 제안 오면 고려 가능"

바이든 '아마겟돈' 발언 겨냥 "핵 언급할 때 책임감 가져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의 모습. 타스연합뉴스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의 모습. 타스연합뉴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정상회담과 관련 “미국이 제안을 하면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혔다.



라브로프 장관은 11일(현지 시간) 국영 방송 '로시야-1'과 인터뷰에서 다음달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 미러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에 대해 "누차 이야기했듯이 우리는 대화를 거부하지 않는다"며 "제안이 있다면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최근 존 커비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관이 미국은 대화에 열려 있으나 러시아가 거부하고 있다고 말한 데 대해선 "거짓말"이라며 "어떤 진지한 접촉 제안도 받은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 튀르키예(터키)가 서방과 평화회담을 주선하겠다고 한 것과 관련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이 이번 주 카자흐스탄 방문에서 푸틴 대통령에게 관련 제안을 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며 양국 정상회담을 예고했다.

협상의 조건으로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 반대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는 "우크라이나의 지속적인 안보 위협을 용인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는 러시아에 위협이 되는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계획 및 무기 배치에 대해 말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현재 '특별 군사 작전'의 목적에 변함이 없다며 "우크라이나가 무엇이든 자신들 뜻대로 해도 되는 테러국가가 돼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최근 러시아의 핵전쟁 위협에 대해 ‘아마겟돈’이라고 말한 바이든 대통령을 겨냥한 듯 라브로프 장관은 "러시아가 대량 살상 무기를 포함한 도발을 꾀한다고 주장하거나 핵전쟁 이슈를 제기하는 이들이 자신들의 책임을 이해하길 바란다"며 "미국과 그들의 위성국가, 그리고 그들의 전문가 및 정치인들도 공개 발언을 할 때는 최대한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러시아 대통령은 핵 공격에 따른 러시아의 파괴, 또는 러시아 국가의 존립을 위협하는 공격을 막기 위한 보복 수단으로만 핵을 쓸 수 있다고 여러 차례 밝혔다"고 말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