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IB&Deal

[시그널] 급격한 금리 인상에 바이오주 IPO '비실비실'

플라즈맵 11일 수요예측 부진에 공모가 대폭 하향

샤페론도 최근 일반 청약 경쟁률 10대 1도 못미쳐

금리 상승 지속에 헬스케어주 상장 부진 두드러져

알피바이오 등 '실적 뒷받침' 기업만 흥행에 성공

/이미지투데이/이미지투데이




헬스케어 업체들이 기업공개(IPO) 시장에서 계속 힘을 못 쓰고 있다. 헬스케어 업종은 ‘성장주’ 성격이 강한데, 최근 금리 상승 압력이 이어지고 있어 투자 심리 반전이 쉽지 않다는 해석이 나온다. 다만 실적 흐름이 견조한 헬스케어 업체들은 공모주 시장에서 계속 관심을 끌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1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플라즈맵은 지난 11일 최종 공모가를 7000원으로 공시했다. 이는 기존에 제시한 희망가(9000~1만 1000원) 하단보다 22% 낮은 수치다.

지난 5~6일 기관투자가들을 대상으로 플라즈맵이 실시한 수요예측에서 39.78 대 1의 경쟁률로 부진한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다.



플라즈맵은 바이오 플라즈마 기술을 이용해 의료기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다. 상장 후 의료용 3차원(3D) 프린팅 등에 진출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관련기사



최근 공모 절차를 완료한 신약 개발 업체 샤페론도 IPO 과정에서 부진한 실적을 거뒀다. 지난달 29~30일 수요예측에선 26 대 1의 경쟁률로 확정 공모가를 희망가 하단보다 39% 낮은 5000원에 정했다.

공모가를 기존 눈높이 대비 대폭 낮췄지만 샤페론은 일반 청약에서도 9.4 대 1에 불과한 경쟁률을 보이며 흥행에 실패했다. 샤페론은 서울대 의대의 실험실 벤처로 출발한 기업인데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NHN인베스트먼트 등 유수의 벤처캐피털(VC)로부터 투자금을 유치할 정도로 바이오 기대주로 꼽혔다.

이들 바이오 기업의 IPO 부진은 최근 헬스케어 부문 주가 침체와도 관련이 깊다는 평가다. 헬스케어 업종은 최근의 기준 금리 인상 압력 기조에 비교적 더 취약한 모습을 보여왔다. 실제 코스피지수는 연초부터 지난 11일까지 26% 하락했는데, TIGER KRX바이오 K-뉴딜 상장지수펀드(ETF)는 34% 떨어져 내림폭이 더 컸다.

IPO 시장에서도 헬스케어 부문의 침체기가 유독 두드러진다는 해석이 나왔다. 올 해 상장에 성공한 신약 개발 업체는 보로노이(310210)에이프릴바이오(397030) 등 두 곳뿐이었다. 그나마 수요예측 경쟁률도 각각 28.35 대 1, 14.43 대 1을 나타내 부진했다. 벤처캐피털(VC) 시장에서 총 2500억 원을 유치했던 디앤디파마텍은 한국거래소의 상장 예비심사 문턱도 넘지 못했다.

증권가에선 헬스케어 업종에서도 ‘실적 모멘텀’에 따라 업체별 투자 심리가 갈릴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수요예측에서 1556.04 대 1의 경쟁률로 공모가를 희망가 상단인 1만 3000원에 결정한 알피바이오(314140)가 대표적이다. 알피바이오는 연질캡슐 제조 업체인데 건강기능식품 시장 성장과 함께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으로 전년 동기보다 146% 늘어난 67억 원을 기록한 바 있다.

신한투자증권은 “국내 헬스케어 업체들의 IPO는 상반기 대비 활발하게 진행 중이지만 전반적으로 낮은 밸류로 상장했다” 며 “알피바이오와 같이 실적이 나오는 회사는 긍정적인 수요가 있었지만, 신약개발 회사에는 낮은 밸류에도 불구하고 회의적인 시선이 지속 중”이라고 설명했다.


심우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