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코로나블루, 아이들도 덮쳤다…초등학생 불안장애 진료 47% 증가

소아·청소년 우울증 진료인원 2년새 39.6% 증가

불안장애 18.9% 늘어…초등학생 증가율 최고치

신현영 의원 "연령대별 정신건강 케어 위한 인프라 필요"

우울증과 불안장애를 호소하는 소아청소년이 코로나19 사태 전보다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투데이우울증과 불안장애를 호소하는 소아청소년이 코로나19 사태 전보다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투데이




코로나19 장기화 여파로 우울증과 불안장애를 호소하는 소아청소년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등학생의 경우 불안장애 진료 인원이 2년새 39.6%, 우울증은 18.9% 늘어나며 증가폭이 가장 두드러졌다.



1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아동·청소년 우울증 및 불안장애 진료현황’ 자료를 보면, 지난해 불안장애로 병원 진료를 받은 18세 이하 소아·청소년은 2만3590명으로 코로나19 유행 이전인 2019년(1만6895명)보다 39.6% 증가했다. 이 기간 우울증으로 진료받은 인원은 3만9868명으로 18.9% 늘었다.

관련기사



연령대별 진료 현황을 살펴보면 초등학생(만 7~12세)의 증가세가 가장 두드러졌다. 지난해 우울증으로 진료받은 초등학생은 3857명으로 코로나19 유행 전인 2019년(2908명)보다 32.6% 증가했다. 같은 기간 고등학생(만 16~18세)의 증가율인 21.0%와 중학생(만 13~15세)의 10.5%, 영유아(만 0~6세)의 3.1%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진료건수 기준으로는 고등학생이 2만5185명으로 3년 연속 가장 많았다.

불안장애 진료인원도 비슷한 양상을 나타냈다. 지난해 불안장애로 진료받은 초등학생은 4136명으로 2년 전보다 46.7% 증가하면서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이어 중학생(44.4%), 고등학생(36.8%), 영유아기(25.4%) 순이었다. 진료건수 기준으로는 고등학생이 지난해 1만2969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성별 진료 현황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여성의 우울증·불안장애 증가율이 남성보다 높았다. 지난해 불안장애로 병원 진료를 받은 여성 초등학생은 2년 전보다 53.0% 증가했다. 그에 비해 남성 초등학생은 41.7%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진료건수가 가장 많은 고등학생의 경우에도 우울증 진료를 받은 여학생이 1만7064명으로 22.1% 증가한 반면 남학생은 8121명으로 18.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현영 의원은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단절이 소속감이 중요한 아동·청소년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며 우울과 불안을 더 악화시킨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 반복될 감염병에 대비해 아동·청소년들의 신체적 건강 뿐만 아니라 정신적 건강까지 케어될 수 있도록 연령대별 특성에 따른 예방, 치료 인프라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안경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