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남성일까? 여성일까?…이 사람의 정체는 '논바이너리'

칠레 정부 역사상 처음으로 논바이너리 신분증을 받은 셰인 아길라 시엔푸에고스(Shane Aguila Cienfuegos).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칠레 정부 역사상 처음으로 논바이너리 신분증을 받은 셰인 아길라 시엔푸에고스(Shane Aguila Cienfuegos).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중남미 국가들이 공식 문서에서 남성이나 여성이 아닌 ‘제3의 성’ 표기를 잇따라 인정하고 있다.



14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 등 외신에 따르면, 이날 칠레 정부는 역사상 처음으로 성별 표시란에 ‘X’가 적힌 논바이너리(non-binary) 신분증을 셰인 시엔푸에고스(29)에게 발급했다.

칠레에서 성 중립 다양성을 위한 사회단체를 이끄는 시엔푸에고스는 지난 9년간의 법정 투쟁 끝에 논바이너리 신분증을 받게 됐다. 그는 “이것은 나 혼자만의 승리가 아니라, 모두의 승리”라고 말했다.

셰인 시엔푸에고스가 새로 발급 받은 신분증 성별란에 논바이너리(X) 표시가 돼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셰인 시엔푸에고스가 새로 발급 받은 신분증 성별란에 논바이너리(X) 표시가 돼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논바이너리는 생물학적 차이에 따른 성별(sex) 구분과 다른 성 정체성(gender)을 지닌 사람을 뜻하는 용어다. 자신의 생물학적 성이나 성적 지향과 관계없이 성 정체성은 자신이 속한 사회와 문화 속에서 스스로를 어떻게 규정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관련기사



칠레는 성 소수자 정책과 관련해 진보적인 국가 중 하나로 꼽힌다. 성 소수자 관련 권리를 대폭 확대하는 취지의 문구를 아예 헌법에 명문화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지난달 이 헌법 개정안이 국민투표에서 부결돼 국회에서 다시 손보고 있다.

중남미에서는 아르헨티나가 지난해 4월 처음으로 성 중립적 신분증명서를 인정했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주민등록증과 여권에 남성(M)과 여성(F) 외에 ‘X’ 옵션을 추가했다. 이밖에도 지난 2010년 중남미에서 최초로 동성결혼을 합법화했고, 2012년 트랜스젠더 등이 자신의 정체성에 맞게 성별을 바꿀 수 있도록 했다. 멕시코와 콜롬비아가 그 뒤를 이었다.

중남미뿐 아니라 미국은 올 4월부터 여권 성별에 ‘X’를 선택해 표기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미 정부는 내년 말까지 여권 외의 서류에도 제3의 성을 표시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할 방침이다. 법 개정에 따라 미국에서는 여러 제도를 정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례로 미 국방부는 논바이너리가 공개적으로 군 복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고 지난 1월 현지 매체가 보도했다. 미국에서는 2016년 오바마 행정부 시절 트랜스젠더의 군 복무를 허용한 바 있다.


정미경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