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미국 시민권 놓고 저울질…고심 커지는 中 반도체회사 중역들

반도체 기술 수출 통제 두고

법인뿐만 아니라 미국인도 해당

시민권자, 영주권자 넓게는 거주자도

제럴드 인 AMEC 회장 등도 제재 대상

/서울경제DB/서울경제DB




미국이 중국을 상대로 반도체 분야의 첨단 기술 통제를 강화하면서 중국의 반도체 회사에서 일하는 미국인 임원에게도 불똥이 튀었다.



16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중국 반도체 관련 상장사 16곳에 근무하는 등기 임원 중 미국 시민권자는 최소 43명에 달한다”며 이 같이 보도했다.

관련기사



이는 미국 상무부가 지난 7일 미국 기업이 18나노미터(nm) 이하의 D램, 128단 이상의 낸드 플래시, 14nm 이하 로직칩을 생산하는 중국 기업에 반도체 장비를 수출하는 것을 사실상 금지하는 조치를 발표한 여파다. 이 조치는 미국 정부의 허가 없이는 미국 회사가 미국의 첨단 반도체 기술 관련 노하우를 중국에 전하는 것 자체를 막는 게 목적이다. 제재 대상에는 미국 회사뿐만 아니라 미국 시민권자, 영주권자를 비롯해 넓게는 미국 거주자까지 포함된다.

이에 따라 중국의 반도체 기업에서 일하고 있는 미국 임원들도 업무를 지속하지 못할 위기에 처했다. 중국의 반도체 장비 업치 나우라(NAURA)의 경우 당분간 미국의 제재 조치가 명확해질 때까지 미국인 직원들이 기술 수출 등 관련 업무에서 손을 떼도록 했다. 일반 사무직이나 엔지니어 등의 경우 해당 분야 업무를 배제할 수 있지만 회사 전반의 운영이나 의사결정을 맡은 임원들은 제재를 피해갈 가능성이 낮다. 대표적으로 미국에서 반도체 관련 경력을 쌓은 뒤 중국에서 반도체 장비 회사 AMEC을 설립한 창업자 제럴드 인 회장이 대표적이다. AMEC의 경우 인 회장을 비롯해 고위 경영진 6명이 미국 시민권자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조치가 구체화되면 임원 중 일부는 미국 시민권 보유 여부를 두고 저울질을 해야할 상황에 처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미국 정부가 회사뿐만 아니라 회사 내부의 핵심 인력에도 제한을 가하면서 중국의 기술 고립 정책에 힘을 싣고 있다고 봤다. 다만 중국 정부에서 전문가를 육성하는 데 심혈을 기울이는 만큼 장기적으로는 타격이 적다는 분석도 있다. 앤 호에커 베인앤컴퍼니 파트너는 “중국이 오래전부터 일관성 있게 해온 게 반도체 분야의 고유한 인재를 확보하는 것”이라며 “중국에서 인력도 자급자족해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실리콘밸리=정혜진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