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증권사, 해외 부동산 투자만 10兆…리스크 관리 '발등의 불'

[증권사 '부동산 PF' 부실]

◆이미 1조 넘게 부실화

'후순위·지분성' 원금손실 가능성

3년 이내 만기 도래 44%에 달해





국내 부동산 금융 관련 리스크가 커지는 가운데 10조 원에 달하는 증권사들의 해외 부동산 투자 역시 부실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증권사 해외 부동산 투자의 약 60%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높은 후순위·지분성 투자라는 점에서 가격 하락이 증권사의 손실로 직결될 수 있다. 이에 증권사들의 해외 부동산 자산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증권사 부동산 대체투자 본부들은 자체적으로 보유한 해외 부동산에 대한 점검에 나섰다. 특히 집중적으로 들여다보는 것은 금리 급등기에 가격이 급락할 가능성이 큰 비핵심 지역에 위치한 해외 부동산이다. 국내 증권사의 해외 부동산 투자 규모는 10조 원에 달한다. 한국은행이 지난달 22일 발표한 ‘금융 안정 상황’에 따르면 증권사의 해외 대체투자 규모는 올 6월 말 기준 21조 원으로 이 중 해외 부동산이 51.8%로 약 10조 원이다.

관련기사



문제는 증권사의 해외 부동산 투자가 원금 손실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한은은 해외 부동산 가격에 조정이 올 경우 만기 3년 이내 자산이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국내 증권사가 투자한 해외 부동산 중 3년 이내 만기가 도래하는 물건이 44.2%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증권사의 해외 부동산 투자 비중 가운데 후순위·지분성 투자는 59.9%에 달했다. 자산 가격이 급락할 경우 후순위·지분성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크다. 한은은 증권사가 보유한 해외 대체투자 자산의 요주의·부실 비율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상승하고 있어 건전성 저하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해외 부동산에 특히 취약한 것은 자본 규모 기준 초대형·대형 증권사다. KB부동산과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 고위험 지역 및 물건 비중은 초대형사(44%), 대형사(31%), 중형사(21%) 순이다. 이 중 해외 부동산 투자 비중은 초대형사가 압도적으로 높다. 초대형사는 고위험 지역 및 물건 비중 44% 가운데 35%포인트를 해외 부동산이 차지한다. 반면 대형사는 31% 중 19%포인트, 중형사는 21% 중 4%포인트다.

한은은 “증권사는 해외 대체투자 확대에 상응하는 수준으로 손실 흡수력 및 유동성을 확충해 나가야 한다”며 “금융 당국은 리스크 요인, 부실 징후 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 입수 및 리스크 점검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종갑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