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대응 능력을 높여 수출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김윤태(사진) 코트라(KOTRA) 중소중견기업본부장은 18일 서울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유럽연합(EU)의 공급망 실사, 탄소국경제도(CBAM) 도입 등으로 ESG가 글로벌 통상 환경의 핵심의제로 떠올랐지만 국내 기업들의 준비는 부족하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EU는 지난 6월 국경간 거래되는 상품에 포함된 탄소에 비용을 부과하는 제도를 도입했다. 이에 따라 EU 시장으로 수출하는 모든기업은 2026년부터 수출상품에 포함된 탄소량에 따라 비용을 내야 한다. 8월 기준 탄소국경제도를 도입 또는 시행하는 나라는 전세계 68개국에 이른다. 또 올 연말부터 ‘기업의 공급망 인권 및 환경 실사지침(ESG 공급망 실사법)’까지 시행되면 EU에서 활동하는 국내 대기업은 물로 중간재를 납품하는 협력사들도 ESG 경영에 대한 실사를 받아야 한다. ESG가 국내 수출 중견·중소기업의 새로운 무역 장벽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김 본부장은 “글로벌 대기업들이 ‘RE100’을 선언하면서 국내 수출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칠 것”이라며 “KOTRA는 ESG를 활용한 수출 장벽을 우리 기업들이 잘 넘어설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KOTRA는 지난해 11월부터 ‘ESG 정보 활용지원센터’를 설치해 수출 중견·중소기업들의 ESG 대응을 돕고 있다. 중견기업·지방기업 등 기업의 형태에 따라 맞춤형 ESG 컨설팅 서비스 제공한다. 김 본부장은 “해외진출 중소견기업을 대상으로 ESG 대응과 준비실태 조사를 해봤더니 65.7%가 ESG를 인식한 반면 실제 ESG 경영을 실행하고 있다고 답한 기업은 3.3%에 불과했다”며 “지원센터를 통해 주요국의 ESG 통상정책을 연구하고 우리 수출기업의 대응 방안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KOTRA는 우리 경제의 허리 역할을 하는 중견기업에 대한 지원도 강화한다. 김 본부장은 “KOTRA는 중견기업을 중점적으로 지원하는 ‘중견기업 글로벌지원 사업(수출바우처)’, ‘세계일류상품육성사업’ 외에도 알리바바의 ‘티몰 글로벌’과 협업해 중국 광군제를 겨냥한 중견기업 상품의 역수출 플랫폼 판촉지원 서비스도 운영하고 있다”며 “내년엔 내수중견기업의 수출기업화 사업을 추진해 수출경험이 적거나 전무한 중견기업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