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이란, 러에 드론 이어 미사일도 지원… 핵 협상에 '찬물'

"이란 고위급, 러 방문해 무기 공급 약속"

美 등 "이란, 핵합의 이행 보장 결의 위반"

19일 비공개 안보리 회의서 문제 논의

우크라, 이란과 단교 선언 "관계 파탄"

17일(현지 시간)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건물들이 자폭 드론 공격을 받은 후 다친 여성이 치료를 받고 있다. AP연합뉴스17일(현지 시간)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건물들이 자폭 드론 공격을 받은 후 다친 여성이 치료를 받고 있다. AP연합뉴스




이란이 우크라이나를 침공 중인 러시아에 드론과 미사일 등 무기를 대거 지원하고 있는 정황이 속속 포착되고 있다. 이란이 핵 무장 포기를 핵심으로 서방과 벌이고 있는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진 가운데, 이번 일로 핵 협상 타결이 물 건너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미국과 영국·프랑스는 이란이 러시아에 무기를 지원한 것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 위반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로이터 통신은 18일(현지 시간) 복수의 이란 고위 관리를 인용해 이란이 지대지 미사일과 드론을 추가로 제공하기로 러시아 측과 약속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모하마드 모크베르 부통령 등 이란 측 군사·안보 관련 고위급들이 지난 6일 러시아 수도 모스크바를 방문한 자리에서 이 같은 지원 약속이 이뤄졌다. 한 이란 외교관은 “러시아 측이 더 많은 드론과 정확도 높은 미사일들을 (이란에) 요구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최근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타격에 이란제 드론을 사용하고 있다는 의혹에 대해 러시아와 이란 모두 부인하고 있지만, 양국이 국가 차원에서 무기 거래를 진행하고 있다는 정황이 추가로 나온 것이다. 외신에 따르면 지난 9월 중순부터 우크라이나 상공에 이란제 자폭 드론 ‘샤헤드-136’이 나타났으며, 최근에는 그것의 소형화 버전인 ‘샤헤드-131’이 등장했다.

이런 가운데 뉴욕타임스(NYT)는 이란이 드론 조종법을 가르치는 교관을 러시아에 파견했다고 전했다. NYT는 익명의 전·현직 미국 관리들을 인용해 이란 정예군 혁명수비대(IRGC) 소속 교관들이 크림반도에 파견돼 러시아군을 상대로 드론 조종법 등을 가르치고 있다고 전했다. 이란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이미 깊숙이 개입하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미국과 영국·프랑스는 이란의 이 같은 행동이 ‘재래식 무기 수출입을 금지하고 핵 활동을 제한하는’ 안보리 결의 2231호를 위반한 것이라고 보고 오는 19일 비공개로 열리는 안보리 회의에서 이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안보리 결의 2231호가 이란 핵합의 이행을 보장하기 위해 2015년 채택된 것인 만큼 가뜩이나 교착 상태에 놓였던 이란과 서방의 핵 협상이 또 다시 ‘시계 제로’ 상태에 놓일 가능성이 커진 셈이다. 서방 3개국 움직임과 별개로 우크라이나는 이날 러시아의 이란제 드론 사용이 결의 2231호 위반인지 조사해달라며 유엔 전문가에게 드론 격추 현장으로 방문해줄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우크라이나는 이란과 단교를 선언했다. 드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무장관은 이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에게 단교 방안을 정식으로 제안했다”면서 “이란은 양국 관계 파탄에 대한 전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고 밝혔다.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