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檢, 이재명 최측근 김용 체포…불법 대선자금 8억 수수 의혹

작년 4~8월 대장동팀서 수수 혐의

金 "사실 아냐…검찰의 정치공작"

김 신병처리 여부 수사 분수령 될듯

검찰 칼날, 이재명 본격 향하나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 연합뉴스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 연합뉴스




위례·대장동 신도시 개발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을 19일 체포하고 자택 등을 압수 수색했다. 검찰은 이날 서울 여의도 민주당 중앙당사에 위치한 민주연구원도 압수 수색했다. 김 부원장이 이른바 ‘이재명 사단’으로 꼽히는 인물이라 검찰의 칼날이 이 대표를 향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강백신 부장검사)는 이날 김 부원장을 체포하고 자택을 압수 수색했다. 또 서울 여의도 민주당 중앙당사 민주연구원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 민주당 의원들이 검사와 수사관의 당사 진입을 제지하면서 압수 수색이 중단되는 등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김 부원장은 작년 4월부터 8월까지 이른바 ‘대장동팀’으로 불리는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과 남욱 변호사 등 민간사업자들로부터 8억원 상당의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정치자금법 위반)를 받는다. 법원의 체포 영장 발부는 그동안 혐의를 부인해온 유 전 본부장의 진술 번복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부원장이 뒷돈을 전달 받은 것으로 추정되는 시기는 민주당이 대선 후보 경선을 준비하던 때다. 그는 당시 대선후보인 이 대표 캠프에서 총괄부본부장을 맡았다. 검찰은 남 변호사 → 정민용 변호사(전 성남도개공 전략사업실장)→ 유 전 본부장을 거쳐 김 부원장에게 자금이 전달됐다는 유 전 본부장의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남 변호사가 운영하던 NSJ홀딩스나 유 전 본부장과 정 변호사가 함께 운영하던 '유원홀딩스' 사무실 등이 자금이 오간 장소로 꼽힌다.

관련기사



검찰은 김 부원장을 상대로 이들로부터 뒷돈을 받은 경위, 이 대표와의 연관성을 집중 확인하는 한편 체포 시한인 48시간 이내(20~21일)에 구속영장을 청구할 방침이다.

김 부원장 측은 불법 자금 수수 의혹에 대해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부인했다. 특히 “소문으로 떠돌던 검찰의 조작 의혹 실체가 드러나고 있다”며 “명백한 물증이 있는 ‘50억 클럽’은 외면하고 정치 공작을 일삼는 검찰의 행태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비판했다.

김 부원장은 정진상 민주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과 함께 이 대표의 최측근으로 꼽힌다. 김 부원장은 작년 검찰이 대장동 개발 비리 의혹을 처음 수사할 때부터 민간업자들과의 유착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작년 9월 유 전 본부장이 검찰 압수수색을 당하기 직전 통화한 이들도 김 부원장과 정 실장으로 드러났다. 앞서 진행된 유 전 본부장 등의 대장동 사건 재판에선 이들 두 명과 유 전 본부장, 김만배(화천대유 대주주)씨가 모여 의형제를 맺자는 이야길 했다는 관계자들의 통화 녹음이 공개되기도 했다.

법조계 안팎에서는 김 부원장에 대한 신병 처리에 따라 향후 수사가 ‘분수령’을 맞을 수 있다고 본다. 법원이 영장 실질 심사에서 구속 쪽으로 결론을 낼 경우 검찰은 정 실장 등 윗선 수사의 물꼬를 틀 수 있다. 김 부원장에 대한 구속 수사 성공 여부에 따라 사정 칼날의 방향과 범위 등이 결정해질 수 있다는 얘기다.

법조계의 한 관계자는 “김 부원장은 이 대표와 정 실장의 복심으로 불리는 인물”이라며 “검찰이 김 부원장의 신병을 확보할 경우 수사가 이들 윗선으로 향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진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