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연세의료원, MD앤더슨과 개발한 전립선암 유전체 분석 기술 이전

디시젠과 NGS 기반 전립선암 분자진단의료기기 공동 개발 협약

전립선암 아형 분류·예후 예측 특허…기술료 5억 3000만 원 확보

연세암병원 전경. 사진 제공=연세암병원연세암병원 전경. 사진 제공=연세암병원




연세의료원 산학협력단은 디시젠에 전립선암 유전체 분석 및 예후 예측 기술을 이전하면서 5억 3000만 원 상당의 기술료를 확보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에 이전한 기술은 연세암병원 비뇨의학과 최영득, 한현호 교수와 연세대 의대 병리학교실 조남훈 교수 연구팀이 미국 휴스턴 MD앤더슨 암센터와 공동 개발한 전립선암 분자생물학적 아형 분류 및 예후 예측 특허 기술이다.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았다.

관련기사



이번 협약에 따라 연세의료원은 ㈜디시젠과 공동연구를 통해 NGS(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기반 전립선암 분자진단의료기기 개발을 수행하게 된다.

연세의료원에 따르면 미국, 유럽 등 해외에서는 이미 NGS 기반 유전자 검사 결과가 전립선암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유방암 환자의 예후 예측에 NGS 기반 기기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양 기관은 전립선암 분야에 NSG 기반 분자진단의료기기가 도입되면 환자 맞춤형 치료 구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현호 교수는 “이번 협약을 통해 연세암병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전립선암 유전체 및 임상 데이터와 디시젠의 NGS 기반 고형암 예후예측 기술을 접목할 수 있게 됐다”며 “전립선암의 전이성 재발 및 항암 약물 반응 예측 문제를 해결하는 키트를 개발하는 것이 최종 목표”라고 말했다.

한편 연세의료원은 서울대병원, 디시젠 공동연구팀과 전립선암 예후예측 바이오마커 개발 사업을 계획해 최근 복지부의 바이오헬스 투자인프라 연계형 R&D 사업에 선정된 바 있다. 3년간 총 14억 원 상당의 연구비를 지원받게 된다.


안경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