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이 와중에 철도 물류대란 오나…美 철도노조 또 잠정합의안 부결

미 신호노조, 잠정 합의안 부결

정비노조도 부결 이어 두번째

19일까지 재합의 못하면 파업 가능성





미국의 주요 철도 노조가 지난달 마련된 노사 잠정 합의안을 부결시켰다. 이에 따라 미국 전역에 물류대란이 발생하면서 전세계 경제가 몸살을 앓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미국 언론 보도에 따르면 26일(현지시간) 철도 설치, 유지, 보수 등을 담당하는 노동자 6000 명 이상을 대표하는 노조 ‘철도신호인형제단’(BRS)은 노사 0잠정 합의안을 두고 찬반 투표를 진행했다. 그 결과 60.57%가 반대표를 던져 부결됐다.



이 잠정 합의안은 지난달 15일 미국 철도 노사가 마라톤 협상을 벌인 끝에 마련한 것이다. 24% 임금 인상, 5000 달러(약 700만 원) 보너스, 병원 진료를 위한 무급 휴가 등이 주요 내용이다.

관련기사



마이클 볼드윈 BRS 회장은 부결 이후 “이번 투표는 BRS 사상 최고 투표율을 기록했다”며 “(잠정 합의안이) 유급 병가 휴가를 누릴 기본권을 침해한다”고 말했다.

앞서 철로 정비 노동자 약 2만3000 명을 대변하는 노조 'BMWED'도 이달 초 찬반 투표에서 잠정 합의안을 부결시켰다. 노조 파업을 막으려면 BRS, BMWED를 포함해 철도 노동자 11만5000 명을 대표하는 12개 노조가 해당 잠정 합의안에 모두 동의해야 한다. 이미 2개 노조가 잠정합의안에 반대하면서 이르면 다음달 19일부터 철도운행이 멈출 가능성이 커진 것이다.

철도 운행은 미국 내 화물 운송의 30%를 담당하고 있다. 전미철도협회는 철도 파업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하루 평균 20억 달러(약 2조8000억 원)로 추산했다. 다만, 이들 노조가 다음달 19일까지 진행되는 재협상에서 다시 합의안을 도출하면 파업을 피할 수 있다고 미국 언론은 전했다.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도 이날 "잠정 합의안에 대한 반대가 있지만, 즉각적인 위협에 놓인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