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유가·정제마진 하락에…에쓰오일, 3Q 96억 순손실





지난 1·2분기 호실적을 기록한 에쓰오일이 올 3분기에는 96억원의 순손실을 보이며 적자전환됐다. 국제유가 하락으로 정제마진이 감소했을 뿐 아니라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인한 환차손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27일 에쓰오일은 올 3분기 매출액이 11조1226억원, 영업이익은 5117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할 때 매출은 56.3% 올랐고 영업이익은 6.9% 감소했다. 역대급 호실적을 보인 직전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2.8% 줄었고, 영업이익은 70.3% 급감했다. 순손실도 96억원으로 적자전환됐다. 에쓰오일은 “유가 하락과 정제마진 하향 조정으로 정유부문 영업이익이 축소했다”면서도 “윤활 및 석유화학 부문의 실적 기여 확대로 영업이익은 5117억원을 달성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사업별로 보면 매출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정유부문에서 매출 9조157억원, 영업이익 788억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의 경우 1조4451억원이었던 2분기보다 대폭 줄어들었다. 석유화학 부문은 매출 1조1615억원과 영업이익 561억원을, 윤활유 부문은 매출 9454억원과 영업이익 3767억원으로 집계됐다.

4분기에는 정유 전망이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에쓰오일은 “4분기 아시아 정제마진은 겨울적 계절적 수요증가로 개선이 전망된다”며 “중국의 수출물량 증가 효과는 러시아의 정유 제품 생산 감소로 일정 부분 상쇄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당기순이익이 적자로 돌아선 것과 관련해서는 ‘환차손’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정유업체가 외국에서 원유를 들여와 정유 공정을 거쳐 제품을 내놓기까지는 약 두 달이 걸리는데 이 기간 현금이 묶이기 때문에 정유사들은 자금을 융통할 목적으로 유전스(Usance)라는 채권을 발행한다. 환율이 급등하면 채권 발행에 따른 이자 부담이 커지고 분기 실적에 반영되는 영업외손실도 늘어나게 된다. 에쓰오일은 “순이익이 적자가 된 것은 환율 상승에 따른 환차손이 5200억원 발생했기 때문”이라며 “다만 환율 상승은 매출액이나 영업이익에는 도움을 주는 요소”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컨퍼런스콜에서 에쓰오일은 2030년까지 회사 석유화학 부문의 비중을 25%까지 확대하는 장기적 성장전략 ‘샤힌 프로젝트’가 올해 안에 이사회로부터 최종 투자 승인을 받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에쓰오일은 “많은 전문기관이 내년 상반기까지 금리 인상이 지속될 것을 예상하고 있지만 샤힌 프로젝트 차입은 2024년 이후”라며 “내년 하반기 금리 하향 안정화가 예상되는 만큼 크게 우려되는 상황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양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